1865년 4월 9일 버지니아주 아포메톡스에서 남북전쟁 항복 조인식이 거행됐다. 패장인 리 장군은 긴 칼을 차고 화려한 제복 차림으로 나타났다. 승장인 북군의 그랜트 장군은 전쟁터의 진흙이 그대로 묻어 있는 차림으로 리 장군을 맞이했다. 그랜트 장군의 복장이나 태도, 그 어디에도 승자의 우월감이나 거만함을 찾을 수 없었다. 그랜트는 패장을 깍듯이 대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자존심을 지켜주었다. 항복 조항에 리 장군과 그의 부하들이 체포되거나 반역죄로 재판 받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히 했다. 남군 병사들의 말이나 노새를 압류하지 않았다.

리 장군이 돌아간 후 그랜트 부하들이 환호하자 그랜트는 부하들에게 타일렀다. “그들도 이제 우리 동포다. 그들의 패배에 환호해서는 안 된다” 1868년 링컨에 이어 제18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그랜트는 화합의 대의를 위해 원수까지 감싸 안은 링컨의 통큰정치를 그대로 이어받았다. 총사령관 그랜트는 전투에선 잔인할 정도로 용맹스러웠다. 하지만 대통령 그랜트는 남부에 온화했다. 남북전쟁의 영웅이었던 그랜트 대통령은 링컨이 추구했던 포용정책을 실천하기 위해 남부를 끌어안고 국민통합에 전력을 쏟았다. 북부 공화당 급진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남부 전범자에 대한 대대적인 사면을 통해 국민통합을 시도했다.

남부인들이 남북전쟁을 ‘잃어버린 이상(The Lost Caus)’으로 여기며 남북전쟁을 정당화했지만 그랜트는 그러한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 같은 남부의 정서를 수용했다. 그랜트에겐 이전의 북군이든 남군이든 다 같은 애국자였다. 그랜트를 대통령으로 밀었던 공화당 급진주의자들은 그랜트가 전투에서 보여주었듯이 패배한 남부에 대해 가혹한 복수전을 펼칠 것을 원했다. 하지만 그랜트는 아포메톡스에서 보여주었던 그 마음과 태도로 남부를 끌어안았다. 그랜트는 아포메톡스 항복 조인식을 전쟁을 마무리하는 의식이 아니라 화해와 국민통합의 시작점으로 생각했던 것이다. 승자의 관용은 미국사의 가장 큰 위기를 극복하고, 미국을 하나로 결집하게 만들었다. 우리도 그랜트 같은 관용의 대통령을 가져보는 것이 새해 가장 큰 소망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