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다 경쟁속 수익률마저 급감···9년간 경북 126·대구 114곳 줄어
철거비용 문제 탓 방치 경우도…전기차 보급에 미래 전망 어두워

최근 매각한 포항시 북구 죽도동의 한 주유소에서 위험물저장시설 철거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손석호 기자
대구 북구 고성동 A 주유소는 지난해 11월 폐업하고 부지를 팔았고, 해당 부지에서는 빌딩공사가 한창이다. 북구 산격동 B 주유소는 지난해 4월 폐업했는데, 현재 대형 햄버거 판매점으로 변신했다. 중구 동인동 C 주유소는 도심 한복판에 있는 탓에 각종 축제나 마라톤대회 등으로 영업을 못 하는 날이 많아서 건물 일부를 커피 전문업체에 임대해 수입구조를 다변화하고 있다. 도명화 대구주유소협회 사무국장은 “영업이익률이 1~2%에 불과한 상황에서 과당경쟁까지 이어지니 견디다 못한 주유소들의 폐업이 끊이지 않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구·경북의 주유소가 해마다 감소하는 등 끝없이 추락하고 있다. 자동차 연료 다변화에 이어 수익률마저 떨어지면서 폐업이나 업종 변경에 나서는 주유소 업주들이 많아서다.

대구의 경우 2010년과 2011년 주유소가 458곳에 달했는데, 기름값과 금리가 치솟았던 2014년 433곳으로 줄었다. 2015년에는 392곳, 2016년 382곳, 2017년 379곳, 지난해와 올해까지는 371곳으로 감소했다.

특히 대구는 주유소 간 과당경쟁에 이어 정부가 고유가 대책으로 알뜰주유소 정책 등 경쟁 촉진 정책을 펴면서 사정이 더 나빠졌다.

도명화 사무국장은 “항상 기름값이 오르든 내리든 대구의 휘발윳값이 전국에서 가장 싸다는 뉴스로 장식할 정도로 대구의 주유소 간 과당경쟁이 심각하다”며 “현재 370곳 수준에서 250곳 수준으로 줄어도 운전자들이 불편이 없을 것이고, 주유소 업주들도 경쟁하면서 할인한 가격이 아닌 제값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경북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2010년 1422곳까지 늘었던 주유소는 2013년 1386곳, 2017년 1320곳, 지난해에는 1296곳까지 줄었다. 포항의 경우 최근 2년 사이 5곳의 주유소가 문을 닫았다. 포항주유소협회 관계자는 “ℓ당 10원 이하의 최소 이윤싸움에다 임금 상승에 따른 인건비 상승으로 영업이익이 더 줄면서 주유소를 매물로 내놓는 사례가 많아졌다”며 “주유소 설립에 필요한 15억 원 이상 자산을 가진 사람들이 굳이 돈이 되지 않는 주유소에 관심을 가질 이유도 없다”고 했다.

경북의 한 주유소 대표는 “겨울철에는 난방유인 등유판매량이 좋아서 재미를 봤는데, 대구를 비롯한 대도시 등을 중심으로 도시가스가 전방위로 보급된 이후 이마저도 누릴 수 없게 됐다. ‘기름 장사로 돈 번다’는 말은 이미 옛말이 됐다”며 “부동산 경기가 좋아지면 매각할 마음도 먹고 있다”고 말했다.

업종전환이 쉽지 않은 경북 시·군의 경우 위험물저장시설 철거비용 등의 문제 등을 이유로 방치 하는 경우까지 있다. 실제로 한국석유관리원이 김정훈 국회의원에 제출한 ‘전국 휴·폐업 주유소 현황’에 따르면, 폐업신고 후 토양오염도 검사와 위험시설물 용도폐지를 이행하지 않고 방치된 주유소가 경북지역에 5곳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유소의 추락은 앞으로 더 가속화 할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 선도도시’를 표방한 대구가 더 그렇다. 대구는 2016년부터 지원금까지 줘가면서 전기차 민간보급에 나섰고, 현재 6690대가 등록한 상태다. 공용충전기 또한 1253기가 설치돼 있고, 한국전력에서만 대구지역 아파트 167곳에 완속·급속충전기 457기를 설치한 상태다.

대구시 미래형자동차과 관계자는 “2022년까지 7만 대, 2030년까지 50만대를 목표로 전기차를 보급하고 있다”면서 “전기차가 보편화하면 내연기관에 쓰이는 연료를 취급하는 주유소가 더 설 자리를 잃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배준수, 손석호 기자
배준수 기자 baepro@kyongbuk.com

법조, 건설 및 부동산, 의료, 유통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