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포항 1만1838명 감소, 총인구감소 전환 시점 빨라질 것
의성, 전국서 소멸위험 최고 높아

지난 3년 사이 경북·대구에서 5만여 명이 타 지역으로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유출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총인구감소 시점도 빨라질 것으로 점쳐져 지방소멸위기가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11일 통계청의 국내 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지난 3년(2016∼2018년) 동안 경북과 대구 32개 시군구 중 19곳(59.4%)에서 5만3395명이 다른 시·도로 빠져나갔다.

대구에서 2016년 9260명과 2017년 1만1936명, 2018년 1만4242명 등 총 3만5438명으로 가장 큰 인구가 유출됐다.

이 밖에도 포항(1만1838명), 안동(6032명)을 비롯해 구미(5143명), 칠곡(5144명) 등에서 큰 감소를 보였다.

칠곡의 경우, 경북도 내 군 단위 지자체 가운데 가장 많은 지역민이 빠져나간 것으로 집계됐다.

대구시에서 가장 인구가 많이 줄어든 곳은 달서구로 3년 사이 3만2848명의 순 유출이 있었고 서구(2만219명)와 수성구(1만8893명)에서도 눈에 띄는 유출량을 기록했다.

우리나라 총인구가 줄어드는 인구감소 시점 또한 예상보다 앞당겨져 이르면 5년 내 시작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11일 관계 당국에 따르면 통계청은 오는 3월 28일 2017년∼2067년 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를 발표한다.

이번 추계에선 인구감소 시점이 출산율 저위 추계 시나리오 기준으로 추정했던 2028년보다 앞당겨질 가능성도 포함될 것으로 알려진다.

통계청 관계자는 “합계출산율이 지난해 저위 추계 시나리오(1.12명)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며 “이에 따라 인구감소 전환 시점은 2028년보다 앞당겨질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2016년 통계청은 장래인구 추계에서 한국의 총인구 감소 시점이 중위 추계 기준으로 2032년, 출산율 저위 추계로는 2028년이 될 것으로 공표했으나 최근 출산율이 예상보다 빠른 감소세를 보여 이 같은 전망에 변화가 불가피한 것으로 분석된다.

인구유출과 인구감소의 여파는 이미 지방소멸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지난해 발표한 ‘한국의 지방소멸 2018’ 보고서를 통해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 지역’인 89곳(39.0%)은 30년 뒤 사라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소멸위험을 수치화 한 소멸위험지수가 0.2를 밑도는 고위험 지역은 2013년 2곳에서 올해 11곳으로 증가했는데, 이들 중 7곳이 경북에 있다.

전국에서 소멸 위험이 가장 높은 곳은 의성(0.151)이었으며 군위(0.169), 청송(0.184), 영양(0.187), 청도(0.194), 봉화(0.197), 군위(0.198)등이 뒤이었다.

전문가들은 20∼30대 젊은층의 유출을 줄이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한국고용정보원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30대 이하 순유출 인원은 34만2000명에 이른다”며 “20·30대 청년층은 일자리, 대학 진학, 결혼 등의 이유로 소멸위험 지역에서 수도권 또는 대도시로 이동한다”고 말했다. 이어 “청년 인구의 유출을 억제하고 지역이 성장하기 위해선 물리적 인프라 중심의 혁신뿐만이 아닌, 교육과 교통, 주거, 문화 등과 관련된 생활양식의 혁신이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