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에너지 전환정책에 따라 원전해체 산업이 블루오션 산업으로 떠올랐다. 이를 보증이라도 하듯이 청와대가 올해 초 동남권원전해체연구소를 설립하고 원전해체산업을 육성하겠다고 했다. 이 때문에 지방자치단체들이 원전해체연구소(원해연)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다.

원전 관련 산업은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기간산업인 만큼 기관의 설립은 매우 신중히 해야 한다. 정치적 입김이 작용해 자칫 입지를 잘못 선정하게 되면 국가발전에 중대한 차질을 빚기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이달 중에 원해연의 입지를 선정할 계획인데 경북도(경주)와 부산(기장), 울산 등 3곳을 놓고 저울질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해연의 입지 선정을 위해서는 어디가 더 합당한 지를 조목조목 따져 봐야 할 것이다.

우선 경북에는 국내 가동 원전 24기 중 절반인 12기가 위치해 있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 원자력 해체의 경우 물질의 이동 등에 위험성이 따르기 마련이다. 먼 거리를 이동 할수록 위험이 가중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이 때문에 원전이 많은 곳에 원해연이 설립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경북은 이 같은 조건 뿐 아니라 사업의 일관 체계를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가동 중인 중수로·경수로 원전 12기를 비롯해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한국전력기술, 원자력환경공단 등 원자력 관련 핵심 기관들이 경북에 자리하고 있어서 원전 설계와 건설, 운영, 해체와 폐기의 전 사이클을 일관 체계로 처리 할 수 있는 조건을 갖고 있다. 이렇게 되면 원전 해체 산업이 최대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국내에서 유일하게 중수로와 경수로 원전을 동시에 보유한 입지 장점을 갖고 있다. 조기 폐쇄된 월성 1호기를 비롯해 월성 원전 2, 3, 4호기는 가압 중수로형 원자로를 쓰고 있다. 국내에 4기밖에 없다. 나머지 국내 원전은 모두 경수로형이다.

여기에다 우수 대학과 연구기관을 보유하고 있다. 세계적이 수준의 공과대학인 포스텍이 첨단원자력공학부와 대학원을 두고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이 뿐 아니라 기계제어나 전기전자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한동대를 비롯, 경북대, 영남대 등 대학이 자리하고 있다. 여기에다 4세대 방사광가속기가 있는 가속기연구소, 원자력환경연구소, 한국지능로봇연구원, 막스프랑크 한국 연구소 등 쟁쟁한 연구기관이 자리 잡고 있다.

경북에 원해연이 들어서면 문재인 정부의 핵심 경제정책인 일자리 창출은 물론 산업군 형성으로 지역 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다. 경북도와 경주시는 이미 연구소 부지로 월성원전 인근에 확장 가능한 넓은 임해부지까지 제시하고 있다. 과학적이고 경제적으로 따져 보면 경북이 원해연의 입지로 최적지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