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노인인구 79만 명으로 지역 인구의 30% 이상이 노인이지만 도내에 병원과 보건소 등 의료인력은 전국 최하위 수준이다. 의료 수요에 비해 의료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 간의 의료 격차도 심각한 수준이다. 이 같은 의료 서비스와 의료 인력 수급 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경북지역 거점 의과대학과 대학병원 설립이 최우선 과제다.

경북 최대 도시인 포항의 경우만 봐도 의료 불균형 상황이 그대로 드러난다. 인구 52만 명의 포항보다 도시 규모가 훨씬 작은 경남 진주시(경상대학교병원), 강원도 원주시(원주연세대 세브란스 기독병원), 전북 익산시(원광대학교병원), 제주시(제주대학병원) 등 4개 도시에 대학병원이 있다. 이들 도시 인구는 각각 진주 35만, 원주 34만, 익산 29만, 제주 49만여 명에 불과하다.

보건복지부가 서울대 의대 가정의학교실 등 서울대 산학협력단에 맡겨 연구한 ‘공중보건장학의 제도보완 방안연구’에 따르면 2016년 기준 경북지역 인구 1000명 당 권역별 병원급 종사 의사 수는 0.52명으로 전국 최하위 수준이다. 의사 수가 가장 많은 서울(1.69명)과 비교하면 3.25배의 차이가 난다. 충남(0.59명), 충북(0.69명), 울산(0.71명), 전남(0.74명), 경남(0.78명), 제주(0.80명) 등 비수도권 지역도 경북보다 훨씬 수가 많다. 이뿐 아니라 보건소·보건지소를 포함한 인구 1000명 당 의원급 의사 수에서도 경북은 0.64명으로 경남, 세종(각각 0.63명)과 함께 최하위권이다.

간호 인력의 지역별 편차는 의사보다 더 극심하다. 상위 10개 시군구의 인구 10만 명 당 간호사 수는 1456명이지만 하위 10개 시군구의 간호사 수는 57명으로 25배가 넘게 차이가 난다. 이렇게 지역별 의료인력 편차가 큰 데다 일선 보건소 등에 배치되는 공중보건의 수도 계속해서 감소세다.

지역보건의료기관과 공중보건의 현황 자료에 따르면 병원급 이상의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와 진료시설인 분만실, 응급실 등 총 5개 항목으로 나눠 접근성과 의료 이용 기준 취약 여부를 분석해 봤더니 경북 23개 시군 중 영천과 영주를 비롯해 상주, 문경 등 16곳이 최소 1개 항목 이상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덕은 5개 항목 모두 취약했고 영양, 봉화, 울릉, 청송은 4개 항목에 대해 취약한 것으로 평가됐다.

급속하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경북의 의료서비스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의료인력 불균형 문제부터 풀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역거점의 의과대학을 설립해 지역 의료인력의 수급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게 해야 한다. 또한 의료수준 향상을 위해 지역 내에서의 충분한 의료인 공급과 체계적인 의료인의 훈련, 의료인들이 지역 내에 정주할 수 있는 정책적 배려 등도 뒤따라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