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세관, 3월 수출 15억 5800만 달러…전년비 15% 감소
지역에 맞는 모델 만들고 기업 발굴·협상작업 돌입해야

대한민국 전자산업의 메카 구미산업단지의 끝없는 추락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6월, 근로자 수 10만 명대가 무너지더니 어느새 9만5000 명(지난 2월 기준 9만5595명) 선을 위협하고 있고, 구미 국가산업단지의 90%가량을 차지하는 50인 미만 기업의 가동률은 32.1%로 전국 평균 56.9%를 한참이나 밑돌아 뿌리 산업마저 송두리째 무너지고 있다.

구미세관에 따르면 지난 3월 수출 실적 역시 18억5800만 달러로 지난해 3월보다 15% 감소하는 등 수출 실적까지 쪼그라들며 내륙수출 전진 도시의 명성마저 잊힌 지 오래다.

기계류와 화학제품의 수출이 증가했지만, 구미산업단지의 주력사업인 전자제품, 광학 제품 등의 수출 감소 폭이 더 컸다는 구미세관 분석은 앞날을 더욱 어둡게 한다.

구미상공회의소의 2019년 2/4분기 기업 경기전망 조사 결과 BSI 전망치가 84로 지난 1/4분기(62)보다 22포인트 올랐지만, 그나마도 기준치(100)를 밑도는 수준이다.

이 역시 기계·금속·자동차부품 기업의 BSI 전망치는 97로 기준치에 근접했지만 주력산업인 전기·전자 관련 기업의 전망치는 78로 기준치는 물론 평균을 한참 밑돌아 당분간 구미산업단지의 추락은 계속될 전망이다.

구미산업단지의 추락을 막을 전환점이 될 구미형 일자리 모델 추진도 정부의 적극적인 움직임과는 달리 좀처럼 구체화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3월 22일 구미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19 새경북포럼 상생형 지역 일자리 창출방안 ‘구미형 일자리 가능한가?’ 특강에 나선 이목희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은 “현재 정부가 추진하는 상생형 지역 일자리 사업은 중앙정부가 정책을 기획 및 설계하고 지방자치단체는 이를 집행하는 하향식이 아닌 지방자치단체가 일자리 사업 기획을 주도하고 중앙은 평가, 지원하는 상향식으로 전환됐다”는 사업 추진 방향을 밝혔다.

이 부위원장은 또한 “상반기 내에 2~3곳의 상생형 지역 일자리 도시를 발굴할 예정인데 구미가 가능성이 크다”며“구미형 일자리가 성사되기 위해서는 구미시민은 물론 지도자들이 정말 간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상반기를 얼마 남겨 두지 않은 상황에서 구미시를 비롯한 구미정치권은 ‘기업’이라는 알맹이는 쏙 뺀 ‘구미형 일자리’ 모델에 대한 성공 가능성만 홍보할 뿐이다.

이에 대해 김동의 한국노총 구미지부 의장은 ”구미형 일자리가 구체화 된다면 구미시민을 위한 일에 많은 양보를 할 수 있다“면서도“기업이 움직이면서 기대치가 올라가야 하는데, 기업은 움직이지 않고 구미만 기대치가 크고 여론만 만들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김달호 구미상공회의소 경제조사부장은 “올해 2/4분기가 기준치는 미치지 못하지만 22포인트 반등해 더딘 회복국면이 예상되는 반면, 투자여건은 78.3%가 여전히 어렵다고 평가해 구미시의 적극적인 투자유치 촉진책이 필요하다”며“구미시는 기존 중소기업의 투자에 대해 지원 기준을 좀 더 강화해 실질적인 지원을 펼침은 물론 지역 실정에 맞는 ‘구미형 일자리’ 모델을 만들고 신속히 기업 발굴과 협상작업에 돌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