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보장제 등 다양한 아이디어…저출산·고령화 해결방안 모색

27일 오후 대구 북구 대구시청 별관 대강당에서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 대응 및 인구유입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대구광역시 인구정책 토론회’가 열렸다. 박영제 기자 yj56@kyongbuk.com

지방생존을 위해서는 젊은층의 인구 유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구시는 27일 시청 별관 대강당에서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 대응과 인구유입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대구시 인구정책 토론회’를 열었다.

앞서 지난해 5월부터 지난달까지 ‘대구시 인구정책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추진했다. 인구문제에 더욱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인구유입 활성화, 저출산 극복, 고령화 연착륙, 인구구조 변화대응 등 4개 주제를 가지고 30여명의 전문가와 50여 명의 시 공무원이 참석한 가운데 사전 분과토론회를 가졌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번 토론회가 마련됐으며 토론회는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원의 ‘대구시 인구전략의 쟁점과 과제’ 주제발표로 시작됐다.

지방생존을 위해 이 연구원은 20대 젊은 층 유입을 가장 큰 숙제로 꼽았다.

대구는 1995년부터 지난해까지 인구 순유출은 30만5000명이며 이 중 20대 청년 인구는 15만3000명으로 50.3%를 차지할 만큼 높기 때문이다.

또한 인구 유지와 반전을 위한 결혼·임신·출산·육아 지원, 인재 육성 등을 제시했다.

대구가 젊은이에게 매력적인 지방 중핵 도시의 역할을 담당하면서 인구 유출을 멈출 수 있는 댐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발전모델에서 획기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존 제조업 중심 산업에서 서비스업·제조업·농업으로, 고생산성·고임금에서 괜찮은 일자리와 양질의 다양한 서비스로, 남성에서 여성으로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고 내다봤다.

인구유입 활성화를 위해 이 연구원은 일본 토호쿠 현이 도입한 청년층 대상 대학학자금 상환, 유럽의 청년보장제 등을 대안으로 꼽았다.

이와 함께 공급자 중심의 창업지원에서 혁신적 창업생태계를 만들어야 하며 핀란드 헬싱키의 알토벤처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이 프로그램은 혁신적 아이디어를 실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준비된 창업가를 양성하기 위한 정규교과과정과 세계적인 스타트업 박람회를 동시에 시행하고 있다.

이 밖에도 40~50대 중고령자와 실직자 지원을 고려해야 하며 퇴직 인력의 인생 2모작 설계, 전직지원 프로그램과 서비스 개발도 요구되고 있다.

저출산을 해결하기 위해 보육·노인 돌봄 서비스 체계의 혁신, 다양한 돌봄 서비스 수요에 대응, 보육시설 안심 보육, 적정 임금과 결합된 양질의 돌봄 서비스 공급 등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시재생도 시그니처 콘텐츠 개발을 서둘러야 하며 스웨덴 말뫼의 터닝 토루소를 사례로 꼽았다.

일자리 창출과 연계한 도시재생을 위해 고려제강 부지를 이용한 부산의 F1963, 조선소 건물을 리스타트 공간으로 활용한 통영 캠프마레도 대안이 될 수 있다.

이 밖에도 2017년 시도별 장래인구 추계에 따르면 대구 인구는 2003년 253만명을 정점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지난해 주민등록 기준으로 245만명이다. 15년간 8만명 줄어들었으며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지면 2045년 인구가 최대 215만명에서 최저 199만명 수준으로 떨어진다.

이와 함께 대구의 소멸위험 지수는 2013년 1.51에서 지난해 0.87까지 떨어져 소멸위험 주의단계에 접어들었다.

17개 시·도 중 세종·울산·경기·인천·대전·서울·광주 8번째로 안심할 수 없는 단계다. 경북은 0.55로 전남 0.47에 이어 2번째로 심각했다.

이상호 연구원은 “도시의 성공 열쇠는 기업을 유치하는 것이 아니라 인재를 끌어들이고 유지하는 것”이라며 “도시를 생활하기 좋고 일하기 좋은 곳으로 만드는 작은 일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김현목 기자
김현목 기자 hmkim@kyongbuk.com

대구 구·군청, 교육청, 스포츠 등을 맡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