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8월 이후 중국 전역에 번져 엄청난 피해를 내고 있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의 북한 발생이 확인됐다. 북한은 지난달 30일 ASF 발병 사실을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 보고했다. 북한 자강도 우시군 북상협동농장에서 기르던 돼지 99마리 중 일부에서 ASF 감염이 확인돼 검사결과 확진 판정됐다. 이처럼 ASF가 한반도에 유입돼 경북을 비롯한 전국 양돈농가에도 비상이 걸렸다.

정부가 북한에서 ASF 발생이 확인됨에 따라 접경지역 내 10개 시·군을 ‘특별관리지역’으로 선포하고, 위기경보 심각 단계에 준하는 방역조치를 취했다. ASF는 한 번 확산하면 피해를 걷잡을 수 없기 때문에 차단이 관건이다. 접경지역 뿐 아니라 전국 양돈농가도 철저한 방역을 해야 할 것이다. 특히 150여만 마리의 돼지를 사육하고 있는 경북은 방역에 각별한 신경을 써야 한다.

ASF는 정부가 제1종 법정 가축전염병으로 관리하고 있는 바이러스성 돼지 전염병이다. ASF는 감염된 돼지의 분비물이나 진드기 등에 의해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돼지과 동물만 감염되는데 성질에 따라 고·중·저 병원성으로 분류된다. 고병원성의 치사율은 거의 100%로 치명적이다. 그런데 미리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이나 치료할 수 있는 약도 없다. 한마디로 ‘걸리면 대부분 죽는’ 무시무시한 가축 질병이다. 중국은 ASF에 감염됐거나 감염 우려되는 돼지 1억3000만 마리를 단계별로 살처분했다. 중국 전체 양돈 농가에서 기르는 돼지의 30%에 이른다.

OIE의 2018년 상반기 조사 당시 감염국은 이탈리아 등 유럽 3개국, 아프리카 22개국이었다. 그런데 지난해 하반기부터 아시아로 급속 확산 중이다. 지난해 8월 중국을 시작으로 올 1월에는 몽골, 2월에는 베트남, 4월에는 캄보디아, 5월에는 홍콩·북한까지 감염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이들 나라에서 수입되는 축산물이나 여행객, 또는 우편을 통해 언제든 국내 감염 가능성이 있다.

경북도가 선제 방역에 나서고 있다는 소식이다. 각 시군이 ASF의 지역 유입 차단을 위해 방역활동을 강화하고 도민들에게 발생 위험성과 예방 요령에 대한 홍보를 강화라고 있다. 특히 양돈농가와 양돈산업 관계자의 ASF 발생지역 여행금지, 외국인 근로자 고향 방문 후 농장 출입 금지, 남은 음식물을 돼지 먹이로 주는 것 자제, 80℃, 30분 이상 열처리 후 먹이기, 야생 멧돼지 예방 울타리 설치 등 차단 방역에 최선을 다해줄 것을 당부한 것이다. 전염성이 매우 강한 ASF는 관공서나 방역 당국의 힘 만으로는 막기 어렵다. 양돈농가는 물론 도민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주의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