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경제 보복에 대한 우리 정부와 기업인들의 대응책 마련이 바빠졌다. 이와 함께 국민의 반일 감정이 고조되면서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경북과 대구에서는 ‘국채보상운동’의 정신을 되살리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청와대에서는 오는 10일 대통령과 30대 그룹 총수들이 만나 대응방안을 마련하기로 했고, 홍남기 경제부총리와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이 5대 그룹 총수와 일요일인 7일 먼저 만나 방안을 논의했다. 이재용 삼성그룹 부회장은 직접 일본으로 가서 현지 경제인들과 만나 분위기를 파악하고 대응책을 강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이 수출규제에 나선 3가지 부품·소재는 모두 국내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에 없어서는 안 될 것들이다. 다른 나라에서 대체재를 구하기도 어려운 것들이다. 일본이 우리 핵심 수출 제품인 반도체 생산을 못하게 급소를 노린 것이다. 아베 정부가 정권 연장을 위해 경제전쟁을 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일본이 국내에 풀린 일본계 은행의 자금을 회수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일본계 자금이 20조 원을 넘어서고, 일본계 자금의 상장주식 보유 물량도 12조 원을 넘는다고 한다. 일본의 보복 기조가 이어질 경우 어떤 형태로든 국내 금융시장에도 영향이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일본의 경제보복이 장기화할 경우 가뜩이나 어려운 우리 경제가 치명상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 실업과 경기 부진의 장기화로 심각한 경제 타격을 받게 된다는 점에서 매우 엄중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정부와 기업인들의 지혜로운 대응이 절실하다.

대구와 경북 등 전국에서 일본제품 불매 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NO-boycott japan 가지 않습니다 사지 않습니다’ 캠페인이 전개되고 불매 대상 기업 리스트가 배포되고 있다. 리스트에는 토요다와 렉서스, 혼다 등 자동차 기업과 브랜드, 소니·니콘·파나소닉·엡슨·다이와·야마하 등 전자제품 브랜드, 데상트·유니클로·ABC마트 등 의류 유통, 아사히·기린·삿포로 등 맥주 브랜드 등이 포함돼 있다.

특히 112년 전 대구를 중심으로 전개됐던 ‘나라 빚 갚아 국권을 회복하자’는 국채보상운동처럼 일본의 부당한 경제 보복에 결연하게 대응하자는 ‘신(新) 국채보상운동’까지 펼쳐지고 있다. 휴가철을 앞두고 잡아 뒀던 일본 여행 계획을 취소하고, 편의점을 찾는 시민들도 일본 맥주에는 손도 대지 않는 등 자발적인 움직임이 일고 있다.

정부와 정치권은 이번 사태를 단순히 시간이 흐르면 진정될 것으로 봐서는 안된다. 아베 정권이 참의원 선거에 반한 감정을 자극해 지지자들의 표를 모으려는 간악한 행위로 분석되지만 선거가 끝나면 달라질 것이란 기대는 금물이다. 정부는 이번 사태에 대한 외교적 해법도 중요하지만 국내 기업 활동의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경영 환경을 점검하는 계로 삼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