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시주도형 일자리창출 전략, 대구-혁신프로젝트 통합모델 구축

고용환경 변화에 따른 일자리 창출 방안으로 경북은 23개 시군 지역의 특색에 맞추는 지역산업맞춤형이 제시됐다. 대구는 지역혁신프로젝트의 통합모델 구축과 수행에 대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의 ‘고용환경 변화에 따른 대구경북지역의 일자리 창출 방안’ 보고서(전인 영남대 경제학과 교수, 윤정현 영남대 교수, 배정민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조사역)는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경북은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 도시주도형 일자리창출전략으로 정책의 패러다임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포항은 철강산업에서 2차전지와 같은 에너지 저장장치로 산업을 변환함으로써 관련 기업도 유치하고 관련 산업의 일자리를 만들어갈 필요성을 제시했다.

구미 역시 기존의 산업단지 인프라와 도시투자유치정책을 기반으로 신규기업(예를 들어 LG케미컬 등)을 유치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또 대학도시인 경산은 유수의 대학에서 양성하고 있는 인력을 지역의 중소·중견기업에 공급하고 있으며, 산학협력을 통한 신규일자리 창출에 최적화된 곳임을 적시했다.

아울러 경북북부 역시 마을 기업, 협동조합 등 사회적 경제주체들과 6차산업(농업과 서비스업) 중심의 활성화를 통해 일자리 창출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구는 산업육성 정책과 관련해, 기업 수준과 요구에 맞는 연구 개발 사업화를 추진해 일자리 창출 효과를 개선하고 기업 지원 정책과 관련, 스타 기업 육성체계에서 유망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이들 기업이 제조업으로 확장할 수 있게 물적·인적 지원을 하는 사업으로 현재 정책의 확장 필요성을 제시했다.

시장선도형과 성장 지원형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는 인력양성사업은 여전히 제조업 중심의 양성훈련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다양한 사업이 수행되고 있으나 유사성이 매우 높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청년층 가운데 ‘대졸 인문사회계열 여성’을 위한 일자리 연계사업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도전적 실험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충고했다.

또 사회적경제 육성 정책은 생계 지원형 전략에서 성장 지원형으로 이동해야 하며, 미약한 현실의 사회적경제가 대구 사회에서 어떤 변화를 만들 수 있는지 정책적 고민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 보고서는 “대구 경북지역은 경쟁력 있는 창업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산업단지를 가지고 있어 이를 중심으로 사내창업 장려프로그램, 창업 팩토리를 구축하고 운영함으로써 창업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박무환 기자
박무환 기자 pmang@kyongbuk.com

대구취재본부장. 대구시청 등을 맡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