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념사업회, 8월 27일 심포지엄 통해 공식화 예정
인근상인 반발 등 걸림돌 우려…명칭 병기 제안도

1960년 2·28 민주운동의 주역들을 중심으로 대구도시철도 반월당역의 명칭을 바꾸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는 가운데 찾은 반월당역과 2·28 민주운동 집결지 표지 일대 풍경. 박영제 기자

대구 중구 반월당네거리 삼성생명빌딩 앞 도로 바닥에는 특별한 공간이 있다. 1960년 대구의 고교생들이 자유당 독재정권에 항거해 우리나라 최초의 학생 민주화운동을 일으킨 집결지로서 ‘한국의 민주화를 성취한 첫걸음’이라는 설명이 담겼다. ‘2·28 민주운동 집결지’ 표지다. 3·15 의거와 4·19 혁명으로까지 이어졌다. 명덕네거리~반월당네거리~중앙네거리~ 대구역네거리 중앙대로 일부 구간은‘2·28 민주로’라는 명예 도로명도 얻었다. 김규학 대구시의회 의원의 제안에 대구시와 중구청이 발 벗고 나선 것이다. 60주년을 맞는 내년 기념식 때 명예도로 명명식도 한다. 반월당은 대구의 동서와 남북의 도로가 교차하는 중심지면서도 역사의 공간이다. 대구도시철도 1호선과 2호선이 교차하는 역 이름도 ‘반월당역’이다. 

2·28 민주운동의 주역들이 ‘반월당역’을 ‘2·28역’으로 바꾸는 일에 나서 주목된다. ‘반월당’이라는 명칭 자체를 고집해야 할 정도로 역사성이 깊지 않다는 주장과 함께 2·28 민주운동의 의미를 더 깊이 되새기자는 뜻에서다. 

대구도시철도공사와 대구신택리지 등의 자료를 종합하면, 1940년대 현재의 반월당네거리 지점에 ‘반월당’이라는 이름의 수예점이 있었고, 이후 대구 최초의 현대식 백화점으로 발전했다. 수예점과 백화점 상호인 ‘반월당’에서 유래해 현재의 덕산동 일대를 반월당이라고 불렀고, 반월당네거리와 반월당역이라는 명칭이 자연스럽게 붙었다. 

우동기 2·28 민주운동 기념사업회장은 "세계 최초의 학생 민주화운동이 시작된 대구의 자긍심을 생각한다면 ‘2·28역’이라는 명칭이 더 큰 의미로 다가올 것"이라면서 "당시 2·28 민주운동의 주역들 사이에서 역 명칭 변경 요구가 거세게 일고 있다. 서명 운동을 벌이자는 의견도 나온다"고 설명했다. 

사정이 이렇자 기념사업회는 8월 27일 내년이면 60주년을 맞는 2·28 민주운동을 하나의 역사적 유물로 볼지, 미래를 지향하는 운동체로 발전시킬지를 놓고 토론을 벌이는 심포지엄을 진행한다. 이 자리에서 2·28 주역과 시민 간 2·28역으로의 변경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면 시민 제안을 통한 공공용물 명칭 제·개정을 추진하거나 대구시에 공식 제안하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실제 지난해 6월 도시철도 2·3호선 ‘신남역’을 ‘청라언덕역’으로 바꾸자는 시민 제안이 접수됐고, 대구시가 시민 의견 수렴을 거쳐 공공용물 명칭 제·개정 심의를 통해 올해 1월 ‘청라언덕역’으로 개정했다. 

걸림돌이 없지는 않다. 

대구도시철도공사 관계자는 "‘신남’이라는 상호를 쓰는 신남네거리 인근 상인들의 재산권 보호와 시민 혼란을 막기 위해 ‘청라언덕’ 다음에 ‘신남’을 병행 표기하고 있다"며 "상호나 약도 등에 반월당네거리나 반월당역 출구 번호를 활용하는 대다수 상인의 반발이 예상된다"고 했다. 

익명을 원한 지역의 한 전문가는 "특정 장소를 기억하기 위한 표현이 지명이고, 하나의 역사가 된 지명이 통용된 정도와 시간을 깡그리 무시하도록 놔둘 수는 없다"며 "2·28 민주운동의 정신을 살리는 일에 더 주목하지 않고, 겉으로 드러나는 건물 명칭에만 몰두하는 모습이 안타깝기만 하다"고 지적했다. 

우동기 기념사업회장은 "‘반월당’과 ‘2·28’을 함께 표기하면 시민 혼란과 상인 피해라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며 "시민 공감대가 더 형성되면 추후 과정을 밟으면 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배준수 기자
배준수 기자 baepro@kyongbuk.com

법조, 건설 및 부동산, 의료, 유통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