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왜관역 광장에서 칠곡군 역사바로세우기추진위원회가 ‘NO왜관’ 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29일 왜관역 광장에서 칠곡군 역사바로세우기추진위원회가 ‘NO왜관’ 운동을 진행하고 있다.

칠곡군 역사바로세우기 추진위원회(위원장 김창규 전 경북도의원)는 29일 왜관역 광장에서 ‘NO왜관’ 운동을 진행했다.

이날 추진위원회는 호국의 고장인 칠곡군에 일본인 숙소라는 뜻을 지닌 ‘왜관’이라는 지명을 지우고, 칠곡군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기 위한 ‘NO왜관’ 운동을 칠곡 군민들과 함께 추진했다.

특히 추진위원회는 칠곡군의 새로운 미래 100년을 설계하기 위해 12만 칠곡군민들과 서명운동, 행정소송, 국민청원 등을 통해 빠른 시일 내에 칠곡군의 역사를 되찾을 방침이다.

칠곡군은 신라시대 팔거리현으로 불리우다가 고려시대에는 ‘팔거’와 ‘칠곡(漆谷)’등으로 지역명이 사용됐다.

조선은 초기에 왜구의 노략질을 막기 위해 일본인의 왕래와 무역을 정식으로 인정해 주었으나 일본인들이 경상도의 여러 항구에서 함부로 상업 활동을 하며 말썽을 일으키자, 제3대 태종(이방원)은 왜관을 세우고 일본 상인들의 활동 범위를 제한했다.

즉 일본 상인들은 왜관 안에서만 상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본 상품이 조선의 시장에 밀려들지 못하도록 하며 국가의 기밀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였다.

조선 인조18년(1640) 가산산성이 축성되면서 팔거현이 칠곡도호부(漆谷都護府)로 승격됐고 지난 1949년 8월 13일 왜관면이 왜관읍으로 승격돼 오늘까지 왜관이란 지명을 줄곧 쓰고 있다.

칠곡군 역사 바로세우기 추진위원회는 현 ‘왜관역’은 ‘칠곡역’으로 ‘왜관 IC’는 ‘칠곡IC’나 ‘팔거IC’로 변경해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김창규 칠곡군 역사바로세우기 추진위원장은 “최근 일본의 한국 패싱, 화트리스트 국가 지정 취소로 불붙은 ‘NO JAPAN’ 운동이 일고 있지만, 단순한 일본산 제품 불매운동은 자칫 무역전쟁을 일으킬 수도 있다”며 “대한민국의 자존감 회복을 위해 칠곡군에서 수십 년간 사용하고 있는 ‘왜관’ 지명을 ‘칠곡’으로 통합하고 되찾는 역사 바로 세우기 운동을 시작하게 됐다”고 말했다.

박태정 기자
박태정 기자 ahtyn@kyongbuk.com

칠곡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