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석회 대구대 교수 논문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5일 오전 헬기를 타고 내려다본 전남 나주시에서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의 모습이 보이고 있다. 연합

인구 20만 명이 되지 않는 소도시의 성장 불균형이 심화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임석회 대구대 지리교육과 교수는 대한지리학회가 펴내는 학술지 ‘대한지리학회지’ 최신호에 실은 논문 ‘지방 소도시의 인구 감소 및 성장과 쇠퇴의 특성’에서 1995년 이후 인구 10만∼15만 명인 중간 계층 소도시가 감소해 계층적 양극화가 일어났다고 분석했다.

임 교수는 그동안 도시 연구가 인구 100만 명을 경계로 나눈 대도시와 중소도시 중심으로만 이뤄졌다고 지적한 뒤 소도시가 1995년 46개에서 2005년 39개, 2017년 33개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2017년을 기준으로 소도시는 수도권에 과천·구리 등 7개, 수도권이 아닌 지방에 동해·태백 등 26개가 있다. 인구가 20만∼50만 명인 중도시는 수도권에 12개, 지방에 17개가 존재한다. 지방에는 중도시 보다 소도시가 더 많다.

임 교수는 지방 소도시 26개 중 약 20년간 인구가 증가한 도시는 서산·당진·계룡·광양·서귀포·통영 6개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모두 감소했다고 강조했다. 인구 감소 폭이 특히 큰 도시는 김제·태백·문경·남원·정읍·상주였다.

이어 군사도시로서 인구가 예외적으로 증가한 계룡을 제외하면 인구성장률 최댓값과 최솟값 차이가 2010년 이후 더 커졌다고 덧붙였다.

그는 “인구 10만∼15만 명 소도시는 몇몇 성장형 도시를 제외하면 대부분 더 작은 소도시로 전락했다”며 “인구가 10만 명에도 미치지 못하는 동해·태백·김제는 위기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그렇다면 지방 소도시 성장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일까. 임 교수는 고용률과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이 성장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그는 “성장형 소도시인 김천·나주·서산·당진은 공공기관이 이전한 혁신도시이거나 대기업 공장이 들어선 곳”이라며 “전형적 외생적 성장이 얼마나 지속 가능한지는 관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내적 성장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소도시 지역생활권 중심지 기능은 사실상 작동을 멈췄다고 봤다.

다만 임 교수는 “지방 소도시들이 수도권 소도시와 비교해 1인당 GRDP가 작거나 고용률이 낮지는 않았다”면서 “비정규직과 비임금 근로자 비율이 정체성·쇠퇴형 지방 소도시가 수도권 소도시보다 2배가량 높다는 점에서 고용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지방 소도시가 위기에서 벗어나게 하려면 근원적으로는 불균등 지역발전을 제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합
연합 kb@kyongbuk.com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