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4주년 광복절이다. 경북과 대구는 물론 전국 가로에 광복을 기념하는 태극기가 내걸려 펄럭이고 있다. 경북도는 경북독립운동기념관에서 예년과 다르게 성대한 행사를 치른다. 올해는 1000여 명이 참석해 3·1운동과 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도 겸해 열려 애국의 뜻을 더한다. 대구시도 문화예술회관에서 애국지사와 광복회원, 시민 등 1000여 명이 참석하는 경축식을 연다.

올해 광복절은 과거사 문제를 빌미로 한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한·일 경제전쟁이 전면전으로 치닫고 있는 시점이어서 국민의 마음가짐이 어느 때 보다 숙연하고 비장하다. 일본이 한국을 수출 절차 간소화 국가에서 제외함으로써 핵심 소재의 수입을 의존하고 있는 우리로서는 적지 않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하지만 우리는 수많은 역사의 질곡 속에서 위기를 기회로, 절망을 희망으로 극복한 저력을 갖고 있다.

일본의 ‘경제전쟁’ 도발에 맞서 이길 수 있는 진정한 극일의 길이 무엇인지 깊이 되새겨야 한다. ‘아베 보이콧’의 성숙한 시민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대구국제공항의 일본행 노선을 9월부터 절반 이상 줄이기로 했다. 일본의 경제보복에 따른 불매운동 후폭풍이 본격화 됐기 때문이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는 tbs 의뢰로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 5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일본제품 불매운동 5차 실태조사’ 결과 ‘현재 참여하고 있다’는 응답이 전주 대비 3.2%p 감소한 61.2%(2640만 명)였다. 우리 국민 10명 중 6명 이상이 참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전범기업 관련 제품이나 “한국이 독도를 무단 점유하고 있다”는 등 터무니 없는 주장과 혐한발언을 하고 있는 DHC와 같은 기업 제품의 불매, 퇴출 운동이 확산되고 있다.

양국이 강대 강 대결을 지속하면 결국 모두가 패배자일 뿐이다. 일본의 보복조치가 한국 경제에 상당한 타격을 주겠지만 일본도 이에 못지않은 피해가 불가피 할 것이다. 일본의 경제 보복이 본격화 된 8월 들어 대 일본 수출이 전년의 같은 기간 대비 32% 급감했다. 추세대로라면 일본을 여행하는 한국인 관광객은 80%가량 감소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일본의 경제 보복으로 충격 속에 맞는 광복절, 한·일 근대사에 대한 국민적 이해를 높이고, 진정한 극일의 길이 무엇인 지를 냉철하게 생각해야 한다. 극일은 반일 감정을 부추기는 감정적 대응으로 될 수 없다. 일본이 도발한 경제 전쟁에서 한국이 극복해야 할 문제점을 오히려 명확하게 인식하는 계기가 됐다. 소재 부품 산업 뿐 아니라 미래 경제 패권전쟁과 외교·안보 등에서 이기기 위한 준비를 어떻게 해 나가야 할 지를 곰곰이 따져 봐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