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오전 10시…남산 불교유적 중심으로 산림사원 재조명

국립경주박물관은 22일 ‘금성의 남산과 헤이죠쿄의 동산-왕경주변의 산림사원에 대한 한일비교’‘를 주제로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사진은 심포지엄 포스터.
국립경주박물관은 22일 신라학 국제심포지엄 ‘금성의 남산과 헤이죠쿄의 동산-왕경주변의 산림사원에 대한 한일비교’를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자연과의 조화 속에서 조성된 남산의 석탑과 불상, 마애불 등 불적(佛蹟)의 조명을 위해 한국과 일본의 관련 학자가 모두 10개의 주제 발표에 나선다.

특히 신라 왕경의 남산과 일본 헤이죠쿄 동산의 불교사원을 비교하는 방법을 통해, 남산을 중심으로 신라 왕경의 산림사원을 재조명한다.

신종원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는 남산이 불교의 성지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또 그 이전에 산신이 거처하는 영험한 곳이었음을 중시했으며, 이와 관련해 삼화령의 미륵불을 주목했다.

차순철 서라벌문화재연구원 단장은 남산은 불국토이기도 하면서 만불산과 같은 것이었다고 해석했다.

남동신 서울대 교수는 국사가 왜, 무엇을, 어떻게 건립하고자 했는지에 대해 고찰했다.

이용현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사는 경주 주변의 산림사원에 주목했다.

왕경 내 소금강산의 백률사(자추사)나 선도산 정상의 마애삼존불은 불교 공인 혹은 왕권 강화 과정의 산물이지만, 왕경에서 떨어져 있는 단석산 신선사는 지역세력 모량부의 성산에 세워진 지역세력 불교 신앙의 거점이었다고 해석했다.

다나카 도시아키 전 시가현립대학 교수는 사원 건립의 지형적 또 시대적 사정에 주목했다.

요시카와 신지 교토대학 교수는 일본의 산림사원은 신들의 공간인 산이 불교 수용 이후 불교적 수행의 장이 됐다고 했다.

후지오카 유타카 오사카대학 교수는 헤이죠쿄 동쪽 가스가산계의 석불이 모두 산림이나 높은 곳에 위치한 점에 주목하고 이들이 법화경에 근거한 산림수행과 관련된 것이었다고 결론지었다.

다케우치 료 교토부립대학 교수는 왕경의 큰 사찰과 산림의 작은 절은 사람과 사물의 왕래 속에 승려 인재 육성의 장이 됐음을 밝혔다.

히라마쓰 료쥰 교토부립대학 강사는 고지도를 통해 헤이죠쿄 동쪽의 불교시설을 분석했다.

히시다 데쓰오 교토부립대학 교수는 산림사원에서 샘과 우물, 못은 수행과 관련해 성스럽고 정결한 신앙적 의미를 지닌 성수와 정수로서 불교 의례에 활용됐음을 밝혔다.

이상의 주제 발표와 토론을 통해, 신라 왕경과 일본 헤이죠쿄의 산림사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상호 인식을 심화하는 과정에서, 신라 왕경의 남산을 비롯한 산림사원과 불교문화의 이해를 한 단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황기환 기자
황기환 기자 hgeeh@kyongbuk.com

동남부권 본부장, 경주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