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현대제철 조업정지 위기 넘겨

3일 환경오염 논란에 휩쌓였던 포스코 포항제철소 용광로가 조업 중지라는 최악의 사태는 피하게 됐다. 이은성 기자 sky@kyongbuk.com
올 초 국내 제철업계의 최대 이슈로 떠올랐던 용광로 블리더 개방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제시돼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한숨을 돌리게 됐다.

환경부는 3일 제철소 용광로 블리더 밸브 문제와 관련 지난 6월 19일부터 8월 29일까지 정부·업계·전문가·시민단체 등이 참여한 민관협의체에서 현장 공동조사 및 외국 운영사례, 오염물질 저감방안에 대한 조사를 벌인 결과 향후 오염물질 관리방안 등 해법을 찾았다고 밝혔다.

우선 민관협의체는 현장 및 해외 사례(미국) 현지조사 결과 용광로 블리더 개방 불가피성이 확인됨에 따라 대기환경보전법 제 31조 1항의 1 예외규정을 적용하되 개방 시기·개방 시간·조치사항 등을 해당 인허가 기관에 보고하면 허용하기로 했다.

다만 업체는 먼지 저감을 위해 정기보수 작업절차와 공정을 개선·시행하고, 환경부는 블리더 개방 시 불투명도 기준 설정 및 배출 먼지량을 해당 사업장의 연간 먼지 배출 총량에 포함 시켜 관리할 예정이다.

연간 먼지 배출 총량은 환경부가 내년 4월 3일부터 시행하는 대기관리권역(포항·광양·당진 등) 및 사업장 총량제를 연계해 추진된다.

환경부는 이와 관련 미국 연방환경청보호청 산정방식 상 제철업계의 연간 먼지 배출량은 포항제철소 1.7t·광양 제철소 2.7t·현대제철 당진제철소 1.1t으로 추산하고 있다.

특히 작업 공정과 관련 블리더 개방에 앞서 연료탄 투입을 조기에 중단(최소 3시간 전)하고, 용광로 내 압력 조정을 위한 풍압을 기존 300~800g/㎠를 100~150g/㎠로 감압해 먼지 배출을 최소화시켜야 한다.

또 블리더 밸브 중 방지시설과 연결된 세미 블리더 밸브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내년까지 환경부 주관으로 기술검토를 한 뒤 현장 적용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업계는 용광로 이외에 제강시설에 대한 집진기 추가 설치·열처리로 등에 대한 질소산화물 저감설비 설치·코크스 원료 야적시설에 대한 밀폐화 조치 등 다른 배출원에 대한 환경시설 개선 투자를 확대해 날림먼지 저감에도 나서도록 했다.

환경부는 블리더 개방 시 배출오염 물질관리를 위해 불투명도 기준을 설정해 관리하고, 블리더 개방 시기를 일출 후로 정하고, CCTV 기록 저장 관리 등도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환경부는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이 같은 개선방안 및 블리더 밸브 운영계획 등을 포함한 변경신고서를 제출하면 해당 지자체가 변경신고 절차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철강업계는 이날 환경부의 발표로 탈출구를 찾게 됐지만 이번 조치가 올 초 고발된 사건에 대해서는 소급적용 되지 않아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이번 조치는 향후 사항에 관한 것일 뿐 기존 고발된 사태에 대해서는 지자체에서 판단할 사항”이라고 잘라 말했다.

포스코는 “발표 결과에 따라 후속조치를 조속히 이행하고 이와 별도로 환경개선 투자를 확대해 대기환경 개선 활동이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입장만 밝혔다.

한편 포스코는 지난 2월 제철소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2021년까지 1조700억원을 투자해 2022년까지 대기오염물질을 35% 감축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으며, 현대제철도 2021년까지 4100억원을 투입해 소결공장 대기오염물질 저감장치 설치를 통해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절반 이하로 줄이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종욱 기자
이종욱 기자 ljw714@kyongbuk.com

정치, 경제, 스포츠 데스크 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