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경북의 출생아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0% 가까이 줄었다. 지난해 8520명 보다 837명이 적은 7683명이었다. 경북 출생아 수는 10년 전인 2008년 2만3538명이던 것이 2017년 2만 명 선이 붕괴 됐고, 해가 갈수록 급격히 줄어 지난해에는 1만6079명이었다. 10년 전에 비해 무려 31.47%가 줄어들었다. 경북이 인구절벽에 다다른 것이다.

경북의 인구감소 관련 보고가 쏟아지고 있어서 그 심각성이 드러나고 있다. 농촌 지역이 많은 경북은 2016년부터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 수가 많아졌다. 인구 노령화가 가속되고 포스코 외의 대기업이 없어서 청년들의 유출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유소년 인구 100명 당 고령 인구를 뜻하는 노령화지수는 전남(178.5)에 이어 경북이 164.5로 두 번째로 높다. 그 중 군위군(687.8)은 전국에서 가장 높고 의성군(646.6), 청도군(559.6) 순이다. 전국 노령화지수 ‘톱15’에 군위, 의성, 청도, 청송, 영양, 영덕 등 경북의 6개 군이 포함돼 있을 정도로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경북도가 이 같은 인구 감소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생애주기(life cycle)별 맞춤 대책을 수립하고 예산을 들여 각종 사업을 전개하고 있지만 해가 갈수록 인구 감소 폭은 더욱 가팔라지고 있다. 내년 본예산 편성을 앞두고 경북도의 행정부지사가 단장이 돼 도 교육청, 대구경북연구원과 도 11개 부서 실과장이 참석한 저출생 극복 태스크포스 회의를 열어 부서별 내년도 신규시책과 사업별 추진전략을 논의하고 점검했다고 한다.

이 회의에서 나온 주요 신규시책이 시군 자체 실정에 맞는 맞춤형 사업 발굴을 위해 ‘저출생 극복 시군 공모사업’을 확대·지원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공모사업을 한 두 해 벌여 온 것이 아니다. 이 같은 대증요법으로는 인구 감소를 막을 수 없다는 것이 이미 드러났다. 저출산과 인구 감소 전략은 관련 부서 뿐 아니라 경제 산업과 연계한 중장기적 플랜이 있어야 한다.

경북도는 인구감소와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17년 3월 인구정책 전담팀을 신설하고 부서별 협업을 위한 경북도 저출생 대응 태스크포스를 구성·운영 중이다. 또 민·관 전문가 54명으로 구성한 저출생 극복 위원회를 꾸려 인구정책에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구 감소세는 진정되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 확실한 대책은 양질의 일자리를 만드는 일이다. 일자리가 있는 곳에 사람이 몰리고 각종 인프라도 함께 따라온다. 미국 시사주간지 US뉴스 앤드 월드리포트가 살기 좋은 곳의 조건으로 일자리를 들었다. 양질의 일자리가 있고 난 뒤 다른 조건이 구비돼야 살기 좋은 도시라고 했다. 미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뽑힌 워싱턴 주의 시애틀은 보잉, 마이크로소프트, 스타벅스 등의 본사가 있는 일자리 천국이라는 것이다. 저출산 대응은 궁극적으로 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에 있는 만큼 산업·경제 관련 부서와 긴밀한 협력으로 타개책을 찾아야 한다. 인구절벽의 궁극 대책은 양질의 일자리에 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