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지정돼…재활용·소재 국산화 추진

포항시(시장 이강덕·앞줄 가운데)가 지난 7월 1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지역의 산·학·연·관이 참석한 가운데 ‘차세대 배터리 혁신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있다.
포항시(시장 이강덕·앞줄 가운데)가 지난 7월 1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지역의 산·학·연·관이 참석한 가운데 ‘차세대 배터리 혁신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있다.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포항 영일만과 블루밸리 산업단지 일대가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자원화 관련 산업 거점이 될 전망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친환경 차 보급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전기차가 소비자에게 인기를 끌면서 앞으로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산업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판단한다.

갈수록 나빠지는 대기환경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2022년까지 전기차 43만대, 수소차 6.5만대 수요창출을 목표로 친환경차 보급에 적극적인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최근 전기차가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지만 이면에 사용 후 배터리 처리문제가 수면위로 점점 드러나고 있다.

전기차는 화석연료를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없지만 수명이 다한 배터리를 처리할 때 중금속 등이 많아 자칫 2차 오염이 문제될 수 있어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포항시와 경북도에 따르면 전국의 지자체로 반납된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가 현재 120여 개에 불과하지만 앞으로 전기차 보급이 늘면 2020년에는 1만여 개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 배터리 재사용, 재활용 분야는 법과 제도 등 세부 규정과 지침 미비로 기업의 기술은 있지만, 상대적으로 투자는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포항시와 경북도는 해당 산업 육성에 일찌감치 나서 지난 7월 포항 영일만과 블루밸리 산업단지 2개 구역이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에 지정되는 성과를 냈다.

특구에서는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의 친환경·안전 리사이클링(재사용·재활용)으로 에너지 저장 장치와 같은 응용제품을 개발하고 리튬, 코발트 등 핵심소재를 추출해 다시 배터리 제조에 사용하는 실증사업을 한다. 또 대외 의존도가 높은 배터리 핵심소재 국산화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포항시와 경북도는 특구에서 하는 사업을 토대로 영일만과 블루밸리 산단 일대를 배터리 리사이클링 거점으로 육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관련 산업 전체를 발전시킨다는 구상이다.

특구에 리사이클링 산업 집적기반을 조성하고 배터리 종합관리 센터를 시작으로 환경부의 거점자원 수거센터, 산업부의 배터리 산업화 센터도 구축할 계획이다.

도는 지난 6월 환경부, 산업부, 제주도, 현대자동차와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자원 순환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리사이클링의 시장은 아직은 작지만 미래에 큰 성장이 기대되는 사업으로 친환경차 보급확대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산업이다”면서 “일본의 경우 완성차업계에서 이미 재활용 기술을 개발해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하고 있다. 우리도 늦었지만 기업들과 협력하여 본격적인 경쟁에 뛰어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포항 영일만과 블루밸리 산업단지 일대를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자원화 거점 단지로 육성해 포항과 경북은 물론 국가 경제를 선도하는 도시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곽성일 기자
곽성일 기자 kwak@kyongbuk.com

행정사회부 데스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