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의 신도시 조성 사업에 문제점이 많다. 그런데도 경북도가 ‘계획 달성’ 운운하며 자화자찬하고 있다. 경북도가 김천시 율곡동 경북혁신도시에 대해 ‘계획 인구의 80%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계획대로 잘 추진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경북혁신도시에 들어선 공공기관의 직원 이주율은 5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도청신도시 개발도 1단계 사업이 마무리 단계에 있고, 최근에도 도청 신도시의 편의시설을 더욱 확충하기 위해 오는 2023년까지 11개 사업에 3228억 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경북도서관을 건립하고 일·가정양립지원센터도 준공을 앞두고 있다. 또 2023년 경북미술관도 건립해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한다고 밝혔다. 이렇다 보니 안동시와 예천군의 구도심 공동화 현상이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 이 때문에 구도심의 아파트 값이 폭락에 가깝게 떨어지고 있고, 인구도 급감하고 있다.

이렇게 부작용이 만만치 않은데도 경북도는 신도시 개발에 대한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경북도는 김천 경북혁신도시는 2만6000명의 계획인구 중 상주인구가 2만1000명(2019년 8월, 2만1667명)을 돌파했다는 단순 수치를 자랑하고 있다. 이는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다. 김천시와 김천시의회는 경북혁신도시 공공기관 직원 이주율은 전체 대상 인원 4146명 중 1952명으로 47%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가족까지 더해도 3192명으로 전체 혁신도시 인구의 15% 수준에 불과하다.

혁신도시에 늘어난 인구 대부분이 김천시 구도심에서 이동한 것으로 봐야한다. 경북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이 본격화되기 전인 2014년 6월 당시 2만2852명이던 김천시 대곡동 인구는 공공기관 이전이 완료돼 이주가 본격화한 2016년 6월 2만1278명으로 1574명 줄었다. 또 1만345명이던 평화남산동 인구는 9805명으로 1만명 선이 무너지고, 8926명이던 자산동도 8354명으로 572명, 5171명인 양금동은 4831명으로 340명, 1만1013명인 지좌동은 1만655명으로 358명 각각 줄었다. 이렇게 2년 동안 모두 3384명이 구도심을 떠나 혁신도시로 이동했다.

혁신도시개발에도 불구하고 김천시 인구는 같은 기간 13만6288명에서 14만3448명으로 7088명 늘었다. 이 기간 인구가 늘어난 곳은 경북혁신도시가 있는 율곡동이 유일했다. 구도심의 인구가 혁신도시로 이동했다는 것이 명확한 것이다.

경북도는 인구의 제로썸 게임을 인정하고 김천혁신도시나 경북도청신도시의 실질적인 정주 여건 개선을 통한 관련 임직원 가족의 이주 유도 정책을 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와 함께 공동화 현상이 가속돼 부동산 가치가 폭락하고 있는 구도심 활성화 대책을 동시에 강력하게 추진해야 할 것이다. 김천혁신도시 조성과 경북도청신도시 조성의 그늘이 깊다. 경북도는 자화자찬할 때가 아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