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국정지지도, 취임후 최저치로…2년 4개월만에 ‘반토막’ 수준
대선 득표율 아래로 하락…중도·무당층·20대·학생·수도권 이반 두드러져

‘조국 후폭풍’ 속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취임 후 최저치로 내려갔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잇따라 발표됐다.

여권의 지지기반 역할을 톡톡히 해온 중도층과 무당층은 물론 주된 지지층으로 꼽혀온 청년층이 조국 법무부 장관 임명 이후 크게 흔들리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갤럽은 20일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긍정평가)는 40%로, 취임 후 최저치를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지난 17∼19일 전국 유권자 1천명 대상·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 ±3.1%포인트·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를 발표했다.

전날 공개된 리얼미터 여론조사(지난 16∼18일 2천7명 대상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2%포인트·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에서도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43.9%로 취임 후 최저치였다.

특히 한국갤럽 조사결과는 문 대통령이 지난 2017년 대선에서 얻은 득표율(41.1%)을 밑도는 수치다. 대선에서 문 대통령에게 표를 던진 이들의 동요, 나아가 이탈 조짐이 감지되는 것으로, 앞으로 이런 추세가 확대될 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이날 공개된 한국갤럽 조사내용을 뜯어보면 무당층과 중도층, 20대의 이반 현상이 두드러진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긍정 78%·부정 17%)과 정의당 지지층(긍정 62%·부정 35%), 자유한국당 지지층(긍정 2%·부정 97%)과 바른미래당 지지층(긍정 9%·부정 84%)은 상반된 모습을 보이며 ‘진영 대 진영’의 결집 양상을 나타냈다.

하지만 무당층의 경우 긍정 평가(22%)보다 부정 평가(61%)가 39%포인트나 더 높게 나타났다. 특정 정당을 지지하지 않고 중간지대에 머무는 이들이 여권에 등을 돌리는 흐름이 나타난 모양새다.

정치적 성향별로도 마찬가지다.

진보층(긍정 74%·부정 20%)은 긍정 평가가, 보수층(긍정 12%·부정 86%)은 부정 평가가 각각 압도적으로, 진영별 지지세 결집이 뚜렷했다. 그러나 중도층에서는 긍정 평가(40%)보다 부정 평가(54%)가 14%포인트나 높았다.

연령별로 보면 20대(긍정 38%·부정 47%)와 학생(긍정 30%·부정 53%)도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해 부정적 의견이 더 높은 상황이다. 조국 인사청문 정국을 거치며 이들 세대가 가장 민감해하는 입시비리 의혹 등이 불거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 보면 민심의 ‘바로미터’로 여겨지는 서울(긍정 40%·부정 53%), 인천·경기(긍정 39%·부정 55%), 충청(긍정 41%·부정 56%) 지역에서도 부정적 여론이 높다.

이날 결과를 조 장관 지명(8월 9일) 이전인 7월 25일 조사와 비교해보면 특히 청년층과 중도층의 이탈 현상이 두드러진다.

7월과 비교해볼 때 국정수행 긍정 평가는 20대(52%→38%)에서 두드러진 하락세를 나타냈다. 중도(47%→40%), 학생(32%→30%), 서울(43%→40%), 인천·경기(55%→39%), 충청(48%→41%)에서도 적지않은 변화를 보였다.

지지층 하락세를 촉발한 가장 큰 원인은 조 장관 임명 문제인 것으로 조사 결과 나타났다.

조사에서 부정 평가자들이 꼽은 사유 1위가 ‘인사 문제’(29%)였고, 3위가 ‘독단적·일방적·편파적’(10%)으로 나타나 조 장관 임명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한국갤럽은 분석했다.

한국갤럽 조사 기준으로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를 살펴보면 취임 첫해인 지난 2017년 6월 사상 최고치인 84%를 기록한 뒤 2년 3개월 만에 ‘반토막’이 난 모양새이기도 하다.

문 대통령 국정 지지도는 취임 이후 오르락내리락하며 70% 안팎을 유지하다 4·27 남북정상회담과 판문점선언 직후인 지난해 5월 4일 83%로 뛰어 올랐다. 이는 역대 대통령 취임 1년 무렵 국정 지지도로는 최고치였다.

이후 최저임금 인상 등 소득주도성장 정책을 둘러싼 논란과 경기불안 문제로 지지도는 하락세로 전환, 같은 해 9월 7일 49%까지 떨어졌다가 9·19 남북공동선언 직후인 9월 21일 2주 만에 61%로 단숨에 반등했다.

그 뒤 또다시 하락세를 이어가던 국정 지지도는 장관 후보자 2명이 인사청문 과정에서 낙마했던 무렵인 올해 4월 5일 41%를 기록한 뒤 보합세를 보이다 이날 40%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그동안 국정 지지도가 크게 반등한 두 번의 포인트가 판문점선언과 9·19 남북공동선언 등 모두 북한 관련 변수였던 만큼 조만간 재개될 것으로 보이는 북미 협상에서의 중재자·촉진자 역할 확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전 등을 통해 반등의 모멘텀을 마련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전임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우 취임 2년 차인 지난 2014년 12월 3주 차에 처음으로 국정 지지도가 40% 아래(37%)를 기록했고, 부정 평가가 50%를 넘었다. 당시는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과 정윤회 씨의 ‘비선실세’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인 때였다. 이듬해인 2015년 1월 4주 차에는 ‘연말정산 대란’ 등의 여파로 국정 지지도가 29%까지 급락했다.

민주당과 한국당의 지지율 격차(민주 38%·한국 24%)는 전주보다 3%포인트 좁혀진 14%포인트로 집계됐다. 양당의 지지율 격차는 지난 5월 23일 조사에서 12%포인트로 좁혀진 이후 13∼21%대를 유지했다.

자세한 조사내용은 한국갤럽 및 리얼미터 홈페이지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연합
연합 kb@kyongbuk.com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