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일 '노인의 날'…1955~1963년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
2020년부터 65세 이상 노인 매년 8천명…시민 의식·경제·문화구조 새롭게 구성
타 지자체 성공사례 적극 벤치마킹 등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 마련 박차

지난해 노인의날 세족식 행사 모습.경북일보DB
10월 2일은 정부가 지난 1997년부터 노인에 대한 공경의식과 사회적 관심을 높이기 위해 국가기념일로 정한 ‘노인의 날’이다. 이와 함께 10월 한 달을 ‘경로의 달’로 지정하고, 다양한 행사와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나라의 발전에 이바지해온 노인들에게 감사와 위로의 기간을 마련하고 있다.

각종 통계와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우리나라는 심각한 저출산과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초 고령화로 세대 간의 갈등을 우려할 수준에 이르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1955년부터 1963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가 내년부터 65세, 즉 본격적인 노인인구로 진입을 시작하는데, 이런 추세라면 오는 2026년에 우리나라 전체가 인구의 20% 이상이 노인인 초 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포항시의 경우, 2017년 10월에 전체인구의 14%가 노인인 고령사회에 접어든 이후 지난 8월말 현재 8만 여명인 15.6%까지 증가했다. 내년부터는 매년 8천명 이상이 노인이 돼 오는 2025년이면 초 고령사회에 접어들어, 2029년에는 30%를 훌쩍 넘길 것으로 보인다.

이는 경제활동가능 인구의 감소로 이어져 지역경제의 쇠퇴 가능성은 높아지고, 노인에 대한 사회적 부양비와 복지비용이 증가해, 지방재정에 치명적인 압박요인이 될 것이 명확한 만큼 철저한 준비와 대응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퇴직을 비롯해 은퇴 후의 노후설계문제가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우리 사회가 함께 고민하고 준비해야 할 사회적인 문제라는 점도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포항시도 눈앞으로 다가온 초 고령사회를 대비해 선제적인 사업을 펼치고 있는 다른 지자체의 다양한 사례나, 우리보다 먼저 초 고령사회에 진입해 적극적인 정책으로 위기를 극복한 외국의 선진사례를 타산지석(他山之石)으로 삼아 시민의 의식구조와 도시의 경제·문화구조를 새롭게 구성하여 초 고령사회에도 도시가 활력을 의 잃지 않도록 선제적인 대응과 준비를 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지난 2015년에 시행된 ‘노후준비지원법’에서는 베이비붐 세대의 특성을 반영해 ‘노년기에 발생할 수 있는 빈곤·질병·무위·고독 등에 대하여 사전에 대처하고, 재무·건강·여가·대인관계 등 분야별로 적절한 노후준비를 위하여 제공하는 진단·상담·교육·관계기관 연계 및 사후관리 등 노후준비서비스와 관련한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시행하라’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과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규정이 필요한 것은 ‘베이비붐 세대’들의 경우, 기존 노인세대와 구분되는 특징으로 높은 교육수준과 건강수준, 향상된 경제력, 강한 자아실현 및 사회참여 욕구 등을 꼽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특히 퇴직·은퇴 후에도 높은 경제활동 욕구를 가지고 있다는 점은 간과할 수 없는 특징이라고 한다.

관련해서 지난 9월 19일 포항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개최한 ‘2020 베이비부머의 실버시대’ 포럼에서, 주제발표에 나선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김수린 박사는“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일자리 등의 정책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건강상태, 소득수준, 생애경력 등 다양한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발표자인 한동대학교의 강병덕 교수는 “노년기의 여가활동은 삶의 활력과 신체·정신적 건강,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세대보다 더 큰 의미를 가지는 만큼 다양하고 질 높은 여가활동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포항시가 ‘베이비붐 세대’를 위해서 추진하고 있는 각종 노후준비 지원 프로그램들을 살펴보면, 중앙정부가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부처별로 나눠서 주도하고 이를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방식으로 나눠져 있다는 점을 알 수가 있다.

예를 들면 고용시장에 머무르고 있는 퇴직자들의 취업상담·취업알선·재교육 등의 사업은 고용노동부에서, 국민연금가입자 중 퇴직예정자들의 노후설계·자산관리 등의 서비스는 국민연금관리공단에서, 65세 이상의 퇴직 또는 은퇴자들의 일자리지원은 보건복지부의 주도 하에 지자체들이 각자 시행을 하고 있다.

포항시는 현재의 이 같은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보건소와 노인관련부서, 자원봉사센터, 평생학습원, 문화재단, 그리고 각 읍·면·동 차원에서 각각 수행되고 있는 프로그램들은 초 고령사회를 앞두고 큰 틀에서 통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이용자인 ‘베이비붐 세대’의 입장에서도 여러 곳으로 분산돼 관리·운영되고 있는 노후관련 서비스들을 일일이 찾아서 이용하기가 불편할 뿐 아니라 개인의 정보력 차이에 따라 차별적으로 제공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포항시는 모든 정책이 그렇듯이 초 고령사회를 앞둔 준비 역시도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민간기관·단체가 서로 소통하고 협력하면서 공동대응하지 않으면 성과를 거두기가 쉽지 않다는 점도 주목하고 있다.

지역주민과 지자체가 주도적이고 주체적인 역할을 할 때 비로소 해당사업이 성공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고, 주민들의 일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복지·보건·문화·체육 등의 분야는 더욱 그렇다는 것이다.

포항시는 실제로 일부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인생이모작지원센터’나 ‘50플러스지원센터’ 등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서비스를 적극 벤치마킹하고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중앙정부의 지원이나 지시를 기다릴 것이 아니라, 베이비붐 세대에 대한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한편, 초 고령사회를 지혜롭게 맞이할 준비를 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선제적으로 마련할 것”이라면서 “중앙정부에 요구할 것은 요구하고,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초 고령사회에 대한 대비책을 속도감 있게 준비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곽성일 기자
곽성일 기자 kwak@kyongbuk.com

행정사회부 데스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