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포항에 지진이 발생해 주민들이 한밤에 아파트에서 뛰어 나오는 등 지역민들이 지진트라우마 속에 살고 있다. 지난달 26일 오전 2시57분 31초 포항시 북구 북북서쪽 6㎞ 지역에서 규모 2.3의 지진이 발생했다. 주민들은 잠옷을 입은 채 뛰어나와 안부를 묻는 지경이었다.

지난 4월에도 동해에서 잇따라 규모 4 안팎의 지진이 발생하는 등 경북 지역에 지진 빈도가 높다. 동해 해역에서 규모 4.3 지진 발생 3일만인 4월 22일 새벽 경북 울진군 동남동쪽 38km 해역에서 규모 3.8 지진이 연이어 발생했다. 지진 전문가들은 내륙에서 강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처럼 지진을 겪은 지역민들이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는데도 정부와 경북도 등 지방자치단체는 그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지열발전소로 인해 촉발된 2017년 11월의 포항 지진과 경주시에서 규모 5.8의 강력한 지진이 발생해 적잖은 피해를 냈던 2016년 9월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포항 흥해실내체육관에는 아직도 보금자리로 돌아가지 못한 주민들이 텐트 생활을 하고 있다. 포항과 경주 등 경북 동해안 지역은 아직 지진 피해 복구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더구나 지진특별법은커녕 내진 보강 실적마저 전국 최하위 수준이라니 한심한 노릇이다. 1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신창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기상청과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5∼2019년 9월) 한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 지진 697건 가운데 절반이 넘는 350건(50.2%)이 경북에서 발생했다.

이렇게 경북은 가장 잦은 지진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물 내진확보 비율은 전국 17개 시·도 중 꼴찌 수준이다. 66만4452동의 내진확보 대상 건물 중 실제로 내진성능 보강을 마친 건물은 7.8%, 5만1765동에 불과했다. 10동 가운데 9동이 지진 취약 건물인 셈이다.

지역별로 보면 지진 발생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기도의 내진보강 비율이 19.5%로 가장 높았다. 이어 울산(18.5%), 서울(17.4%), 세종(16.6%), 대전(16.4%) 순이다. 지진이 집중 발생하는 경북(7.8%)은 겨우 전남(5.9%)보다 높았을 뿐이다. 경북을 제외한 타 지역의 지진 발생률은 2%를 넘지 않는 점을 미뤄 봤을 때 경북의 내진 확보율은 미흡하기 짝이 없다. 경북도나 시군이 그간 말로만 지진 대응을 외친 꼴이다. 지난 2013년부터 지진 보강 민간 건물에 지방세를 감면해 주는 제도가 있지만 경북지역의 감면 실적은 단 3건 뿐이다. 지진 취약지역인 경북의 내진 보강률을 높이기 위한 특별 지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경북도와 포항시 등 지자체는 포항지진특별법 제정도 중요하만 지역민의 안전을 위한 건물 내진보강과 같은 실질적인 대책을 먼저 강구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