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위험지수 지난달 기준 0.501…전남 이어 전국서 두번째로 낮아

2019년 한국의 지역소멸위험 현황. 대통령 직속 저출산 고령사회위원회
경상북도가 전라남도에 이어 전국 광역(특별)시·도 중 두 번째로 소멸위험단계로 진입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 연구위원이 최근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에 제출한 ‘한국의 지방소멸위험지수 2019 및 국가의 대응전략’에 따르면 전국 광역(특별)시·도 소멸위험지수에서 경북은 2019년 10월 기준 0.501로 올해 말 소멸위험단계 진입이 예상됐다.

20~2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지방소멸위험지수는 총 다섯 단계로 ‘소멸위험 매우 낮음 (1.5 이상)’, ‘소멸위험 보통 (1.0∼1.5 미만) , ’주의단계 (0.5∼1.0 미만)‘, ’소멸위험 진입단계 (0.2∼0.5 미만)‘, ’소멸 고위험 지역(0.2 미만)’으로 분류된다.

0.501로 주의단계에 간신히 턱걸이한 경북은 올해 말 0.5 밑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대구광역시 역시 0.796으로 소멸 주의단계다.

지방소멸위험지수가 가장 낮은 지역은 전남(0.438)이며, 전북, 강원, 충남, 충북, 부산, 경남, 제주 등이 1 미만인 주의단계였다.

반면 세종특별시는 유일하게 지방소멸위험지수가 1.559로 소멸위험이 매우 낮은 곳으로 나타났으며 경기도(1.088), 울산광역시(1.085), 인천광역시(1.049), 서울특별시(1.023), 대전광역시(1.009), 광주광역시(1.008)도 지방소멸지수 1을 넘었다.

이에 대해 이 위원은 최근 10년간 영·호남 ‘도’ 지역에서의 수도권 20~39세 청년층 순 유출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해 젊은 층의 수도권 집중 현상이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됐다.

경북 시·군 중 지방소멸위험지수가 가장 낮은 곳은 군위군(0.143)으로 전체 인구 2만3674명 중 20~29세 여성 인구는 1308명에 불과했으며, 65세 이상 인구는 9150명이었다. 군위군 외 소멸 고위험지역에 의성군(0.143), 청송군(0.166), 영양군(0.173), 청도군(0.174), 봉화군(0.177), 영덕군(0.183)이 포함됐다. 또한 성주군, 고령군, 상주시, 문경시, 예천군, 울진군, 영주시, 영천시, 울릉군, 안동시, 경주시, 김천시 등은 소멸위험 진입단계였다.

경산시, 칠곡군, 포항시는 주의단계로 진입했고 경북에서는 구미시(1.586)가 유일하게(전국 다섯 번째) 지방소멸지수 1을 넘어 소멸위험이 매우 낮은 지역으로 분류됐다.

대구광역시는 서구(0.512), 남구(0.560), 동구(0.658), 중구(0.733), 수성구(0.777), 북구(0.914), 달서구(0.959), 달성군(1.124) 순이었다.

이상호 연구위원은 “인구감소에 대응한 지역 정책지원의 기본원칙으로 중앙정부의 책임성에 대한 인정, 지역 맞춤형 전략의 필요성과 열악한 내부 역량에 대한 지원과 지역에 대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며“인구감소대응 특별지역 지정을 통해 인구감소지역의 공동체 대상 교육-복지-일자리-문화를 연계한 지역발전모델을 창출해야 한다”고 해결책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