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정보원 '지방소멸지수 2019'…경북, 올해 말 소멸 위험지역 포함
육아정책연구소, 문화·소아전문의료시설 등 도농복합시 육아환경 개선 강조

2019년 한국의 지역소멸위험 현황.
급격한 저출산·고령화 추세로 ‘지방소멸위험’이 점차 현실로 다가오는 가운데 이를 막기 위한 도농복합시에 특화된 육아정책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지방소멸지수 2019’에 따르면 경북은 올해 말 소멸 위험지역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됐다.

인구재생산 주기인 30년 후에는 경북의 인구가 절반 이하로 감소할 수 있다는 뜻이다.

경북 23개 시군 중 포항·구미·경산·칠곡 등 4개 시군을 제외하고는 모두 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됐다. 또 지난 2015년부터 올해 9월까지 2만5000명이 경북을 떠났고, 2016년부터는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 수가 많아지며 작년에는 인구 자연감소도 6200명이 넘었다.

경북 지역민 중 경북에서 벗어나길 바라는 비율도 높았다.

경북도가 23개 시군(2만2669가구·4만1295명)의 지역민을 상대로 조사해 지난해 6월 발표한 ‘2016 경북 사회지표’에 따르면 이들 중 31.6%가 거주 희망지역으로 수도권을 꼽았다.

그 외 타 시·도가 23.7%, 대구 20.8%, 도내 타 시군을 희망하는 비율은 20.0%에 그쳤다.

특히, 문경·영주의 경우 수도권에 살고 싶은 비율이 각각 55.8%, 54.5%에 달하는 등 중소도시에서 대도시로 옮기고 싶은 비율이 높았다.

현재 거주지에 대한 불만족 사유를 묻는 질문에는 ‘문화·생활 편의시설 부족’이 25.4%로 가장 높았다.

연령별로 나눠보면 29세 이하 응답자가 35.9%, 30∼39세는 33.6% 등 젊은층의 불만족 비율이 70%에 달했다.

이렇듯 갈수록 심각해지는 인구 감소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전문가들은 농어촌 지역 중 도시와 농촌의 성격이 공존하는 ‘도농복합시’의 육아환경 개선을 강조했다.

육아정책연구소는 최근 ‘도농복합시에서 시작하는, 육아친화 농어촌 만들기’를 통해 지난해 전국 귀농·귀촌 인구는 53만4673명이었고, 40세 미만 세대가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고 밝혔다.

특히, 도농복합시는 대도시 근교에 위치한 경우가 많아 직장 통근이 가능하고 비교적 낮은 주거·생활비로 인해 젊은 세대 유입이 높아 영유아 인구가 2005년 72만6874명에서 2016년 74만7861명으로 3% 가량 증가하기도 했다.

하지만 도농복합시의 생활 구조는 도시와 유사하나 육아지원 인프라 특성은 농촌에 가까워, 도시에 비해 문화프로그램·어린이집·초등학교·의료기관 등이 부족해 육아환경 만족도를 낮추는 것으로 평가됐다.

실제로 도농복합시에서 영유아 양육 가정들 중 1년간 아이를 위한 영화·공연 등 문화프로그램을 이용한 비율을 조사한 결과, 41.8%가 영화 및 체험교육 등의 경험이 전혀 없다고 응답한 바 있다.

이와 관련 김은설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은 “도농복합시에 거주하는 영유아 부모 중 돌봄시설·학습 관련 정보·문화시설·소아전문의료시설 등 교육·의료인프라의 부족을 가장 큰 고민거리로 삼고 있다”며 “양육 환경 개선을 위해 교육·보육 서비스 개선 및 확충, 육아 카페 설치 및 공공도서관 역할 강화를 비롯해 소아과·가정의학과 관련 전공의 우선 배치 등을 통해 농어촌 양육환경을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