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는 지방에 학생·인구 붙들어…지역 정치권, 반대 목소리 내야

대학 입시에서 정시 모집 확대가 28일 결정되면서 지역 교육계를 중심으로 우려 목소리를 크게 내며 반발이 거세다.

장순흥 한동대 총장을 비롯해 여영국 국회의원, 일선 고교 지도 교사까지 지방수험생과 대학에 불리한 제도여서 지역 교육은 물론 인구까지 위축시키고 ‘교육의 부익부 빈익빈’이 된다는 게 주장 핵심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사부총장 재직 시절인 지난 2008년께 국내 최초로 입학사정관 제도 도입을 주도했다는 포항의 한동대 장순흥 총장은 “학교 성적과 동아리 등 활동을 주로 보는 수시 제도는 사실 지방 학생이 유리하기에 (보이지 않게) 인구 및 학생을 지역에 붙들고 공교육을 정상화하는 큰 순기능을 했다”며 “정시가 확대되면 사교육에 유리한 수도권으로 학부모·학생이 몰려 지역이 무너진다”고 했다.

장 총장은 이어 “이미 서울 강남 등 사교육에 유리한 곳으로 학부모가 몰리고 있다. 결국 지역 인구가 줄고 지방 균형 발전은 저해돼 지역 소멸을 가속화 할 것”이라며 “지역 정치권은 이러한 큰 여파를 몰고 올 정시 확대 사태 심각성을 잘 모르는 것 같은데 반대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여영국 국회의원(창원 성산구)이 서울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 간 입학생 고교 소재 시·군·구별, 수시·정시 전형별 합격자 비율을 분석 결과도 이를 뒷받침하는 대목이다.

이 자료에 따르면 서울대 합격생 중 동일 시군구 ‘정시수능 전체 합격생 중 차지하는 비율’과 ‘수시학종 전체 합격생 중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 전체 229개 시군구에서 수시학종 우세 지역은 156곳(68.1%)으로 정시 수능이 우세한 곳은 54곳(23.6%)으로 3배가량 많게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대부분 시·도의 시·군·구별 수시학종 우세지역이 더 많았다.

특히 경북이 17곳으로 가장 많았고 강원(14), 경남(13) 등 비수도권 농촌지역에서 수시학종 우세 경향이 뚜렷한 것으로 확인됐다.

수시학종이 우세하면서도 정시수능에서 단 1명 정시전형 합격자도 배출하지 못한 지역이 71곳에 이르렀다.

역시 경북이 10곳으로 강원(10)·전남(10곳)과 함께 가장 많았고, 정시전형 확대가 이들 지역 서울대 입학 가능성을 더욱 줄일 것으로 여 의원 측은 예측했다.

반면 정시수능 입학생이 수시학종보다 우세한 시군구는 전국 54개 시군구인데, 이들 대부분은 서울(10곳), 경기(20곳)에 몰려 있다.

교육 최일선에서 대입 학생을 지도하는 현직 교사도 우려 목소리를 보탰다.

추연일 포항 동성고 진로진학 상담교사는 “정시가 확대되면 서울 강남구·대구 수성구 등 사교육에 유리한 곳으로 사람이 몰리고 부모의 재력이 자녀의 수능 성적으로 연결되는 ‘교육의 부익부 빈익빈’은 심화 될 것”이라며 “학생을 ‘점수의 노예’로 만드는 경쟁 교육으로 시계추를 되돌리는 짓은 불공정이고 잘못된 일”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