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 노후 수도관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데다 가난한 사람들이 많이 사는 지역일수록 노후 상수도관이 밀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먹는 물까지 빈부차를 겪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차별이 비단 대구만의 문제인지도 면밀히 점검해 봐야 한다. 경북의 각 시군지역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각 자치단체에서는 이런 차별적 요소가 없는지 살펴야 한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강효상 의원(자유한국당 대구 달서구 병 당협위원장)이 입수한 환경부 ‘상수도 통계 2018’에 따르면 수명이 20년을 초과한 수도관 비율이 대구가 56.8%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노후수도관 평균 비율이 32.4%인 것을 감안 하면 20% 이상 높다.

이러다 보니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 간 대구에서 수도관(지름 100㎜ 이상)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사고가 160건이나 됐다. 강 의원에 따르면 대구지역 상수도관 가운데 수도관 기능을 하지 못하는 노후관이 770㎞, 약 10%나 된다는 것이다.

최근 서울신문이 수질 민원이 가장 많은 대구시를 대상으로 수질 민원의 분포를 분석해 보았더니 놀라운 결과가 나왔다는 것이다. 수질 민원이 제기된 장소와 수도관 매설 년 수가 30년 이상 된 노후 급수관의 위치 정보를 교차 분석해 본 결과 가구당 소득이 낮은 지역에 밀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년 이상 노후 수도관이 묻혀 있는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난하고 낙후된 지역으로 비좁은 골목, 오래되고 낡은 건물에 산다는 것은 먹는 물조차 안심하고 마실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충격적인 결과다.

이는 30년 이상 노후 급수관 데이터 2만2122개(매설 연장21만 6962m)와 2016년부터 2019년 7월까지 수질 민원 5896건의 구체적 위치 정보를 지리정보시스템으로 표시해 밀집도를 분석한 결과다.

대구 서구 비산1동 주민센터 인근의 수질 민원과 노후 급수관이 가장 집중돼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비산1동 주민센터 인근 반경 0.6㎞ 지역(연 평균 소득 4141만 원)의 수질 민원이 206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 지역 내 노후관은 모두 684개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반해 대구에서 소득이 가장 높은 수성구 대구은행역 반경 0.6㎞(연평균 소득 6500만 원) 구역에서는 수질 민원이 35건에 불과했다. 못사는 동네 ‘붉은 수돗물’이 비단 대구에서 뿐이지 않을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