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경주박물관은 신라문화를 흥미롭게 조명한 신라학 강좌 총서 ‘신라의 대외관계’를 발간, 배포한다. 사진은 ‘신라의 대외관계’ 총서 모습.
국립경주박물관은 신라 역사를 다양하고 흥미롭게 조명한 신라학 강좌 총서 ‘신라의 대외관계’를 발간·배포한다고 6일 밝혔다.

신라 역사 전문 박물관인 국립경주박물관은 신라 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신라학 강좌’를 운영해오고 있다.

이번 총서 발간은 강의 내용을 함께 하기를 희망하는 내외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해 ‘신라학 강좌’를 토대로 강좌 내용을 책으로 출간하게 됐다.

3책 1세트, 총 460면의 이 책은 역사·고고·미술사와 자연과학 등 다방면의 연구자가 집필한 19개의 주제로 구성됐으며, 7월 초순부터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 등에 배포될 예정이다.

대중의 눈높이에 맞추면서도 최신 연구 성과를 망라한 이 책은 신라의 대외관계와 국제교류를 다룬 전문 개설서여서, 독자들은 이 책을 벗 삼아 국립경주박물관의 신라학 강좌를 안방에서 쉽게 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책은 ‘총론’, ‘1부 신라와 삼국’, ‘2부 신라와 동아시아’, ‘3부 신라와 실크로드’로 구성됐다.

집필진은 역사학자 전 한국고대사학회 회장을 역임한 노중국·이영호 교수 등 7인, 고고학자 강현숙(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박천수 교수(경북대학교) 등 5인, 미술사학자 임영애 교수(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등 5인과 자연과학자 김규호 교수(공주대학교) 등 다방면의 연구자로, 원로에서 중진, 신예에 이르는 18인으로 구성됐다.

한평생 신라사를 연구해온 원로 학자 주보돈 교수(경북대학교 명예교수, 전 고대사학회 회장)는 삼국시대 후진국이자 약체였던 신라가 선진국이자 강국이었던 고구려와 백제를 제치고 삼국통일을 이룰 수 있었던 원동력을 외교로 꼽았다.

약체로서 오랜 세월 경험에서 축적된 합종연횡의 외교력이 열매를 맺은 것이라 평했다.

중견 고고학자 김낙중 교수(전북대학교)는 출토유물 비교를 통해 신라와 백제의 교류를 풀이했다.

금동신발은 나라마다 특징이 확연한데, 경주 식리총 금동신발은 다른 신라 출토 신발과는 백제제품으로 5세기 후반 나제동맹기 양국 협력의 분위기를 보여준다고 보았다.

신예 학자 박준영 연구원(전 한신대 박물관)은 신라의 유리구슬들을 분석한 자료들을 연구해 환옥(丸玉)은 포타쉬유리, 소다유리 중 알루미나계 유리는 동남아시아 바닷길을 통해 신라에 들어왔다고 한다.

김도윤 학예사(국립경주박물관)는 화학성분비 분석을 토대로 황남대총의 봉수형 유리병이 중앙아시아에서 실크로드를 통해 신라로 유입됐다고 서술했다.

20년간 이 문제에 천착해온 임영애 교수는 원성왕릉 입구에 우락부락한 무인상이 이전의 다른 연구에서 보아온 중앙아시아인이 아니라 불교의 금강역사라는 지론을 도상을 활용해서 알기 쉽게 풀이했다.

황기환 기자
황기환 기자 hgeeh@kyongbuk.com

동남부권 본부장, 경주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