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균형발전도 문제지만 경북의 균형발전도 큰 문제다. 대구에 있던 도청이 안동·예천으로 옮겨간 데 이어 통합신공항의 입지가 경북의 북부에 치우친 군위 소보·의성 비안으로 결정됐다. 이렇게 되면 포항과 경주, 영덕, 울진 등 경북 동해안 시군의 소외 현상이 더욱 심화할 것이다. 이 때문에 경북동해안 지역민 사이에는 통합신공항 무용론까지 나오고 있다. 경북 동해안에서는 수조 원을 들여 건설될 신공항이 김해공항보다 거리가 더 멀지 않느냐는 것이다.

이렇다 보니 경북 동해안 지역민 사이에는 ‘지역의 정치인들은 뭐하나’라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경북 동해안 지역 출신 국회의원만 해도 4명에다 비례의원을 빼고도 경북도의원이 16명이나 되는데 이런 상황에도 누구 한 사람 입장을 내 놓는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

2014년 대구에서 현재의 위치로 옮긴 경북도청의 입지 결정 때도 지역의 정치인과 단체장들이 제대로 역할을 못해 지금의 기현상을 초래했는데, 신공항 입지 또한 경북도의 북쪽에 치우쳐 결정되게 방기했다는 지적이다. 경북 동해안 지역민은 경북 동해안 정치인과 자치단체장들이 1970년대 산업화 기반을 통한 과거 영화에 매몰돼 미래 준비를 제대로 하지 않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포항의 경우 포스코를 중심으로 한 철강산업이 예전 같지 않아서 경제가 크게 위축되고 있고, 경주시도 관광산업이 침체 된 데다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에 따른 원전사업의 위축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다. 여기에다 전 정권 때 입법화한 신라왕경특별법에 의한 국비 지원까지도 줄고 있다. 영덕과 울진 또한 내 놓을 만한 관광 랜드마크나 미래산업을 찾아볼 수 없다.

포항 등 경북 동해안 지역은 지진특별법과 같은 당장 눈 앞의 사안에 대해 너무 행정력을 집중하는 바람에 경북도 내에서의 위상 등에 대한 미래 비전을 상실하고 있다. 이런 때에 지역 정치인들은 단합해서 그간 말만 무성하고 제대로 진척이 없는 영일만대교 건설과 같은 물류와 관광 등에 획기적 변화를 가져올 기념비적인 사업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 영일만대교와 같은 랜드마크가 서게 되면 포항은 물론 경주의 역사관광과 영덕·울진의 물류 혁신으로 경북 동해안이 일대 변화를 맞을 수 있을 것이다.

경북 동해안 주민들은 ‘되는 것도 없고, 안 되는 것도 없다’는 자포자기 상태에 놓여 있다. 미래 비전이 없는 경북 동해안은 자칫 전국적으로 낙후한 지역으로 밀리게 되고 말 것이다. 경북 동해안 정치인과 자치단체는 신공항 입지가 결정된 지금의 현실을 철저히 반성해야 한다. 이런 무사안일로는 지역의 미래발전을 담보할 수 없다. 경북 동해안 출신 정치인과 자치단체장은 지역민의 미래를 책임진 막중한 임무를 지고 있다. 무거운 책임의식을 갖고 보다 적극적이고 치열하게 지역 발전을 이끌 비전에 올인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