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행정통합추진을 위한 논의체인 대구·경북 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가 21일 대구시청 별관 대강당에서 출범식을 갖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습니다.

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는 공동위원장 2명을 포함해 총 30여명의 위원으로 구성됐습니다.

김태일 대구시 미래비전자문위원회 공동위원장, 하혜수 경북대 행정학부 교수가 공동위원장을 맡았습니다.

나머지 28명의 위원은 시·도 의회, 학계, 경제계, 시민단체 등 각계각층 전문가 중 분야별 전문성과 대표성을 기준으로 선정됐습니다.

위원회는 앞으로 통합 쟁점이 되는 명칭, 대구시와 경북도 지위, 찬반 주민투표 시기, 재정 배분 문제 등을 결정합니다.

김태일/대구경북 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 공동위원장
하나의 지방정부를 만듦으로써 혁신할 수 있는 자원을 많이 확보하고 또 그것을 유기적으로 조직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확보한다는 의미가 있고요. 이렇게 된 데에는 수도권이 지금 블랙홀처럼 지방의 모든 자원들을 빨아들이고 있다는 현실 지방은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다는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대구 경북뿐만이 아니고 전 지역이 지방정부의 초 광역화에 나서는 이유라고 하겠습니다.

하혜수/대구경북 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 공동위원장
지금까지는 중앙 정부에서 탑다운으로 주로 추진을 했고 과거에도 지방의회라든지 단체장 중심으로 이뤄졌는데요. 이번에는 주민들에게 과감 없이 왜곡되지 않은 정보를 전달해서 주민들의 판단을 한번 받아보자 이런 것이 가장 큰 취지가 아닌가... 그렇게 역점을 둘 것입니다.

대구경북연구원이 마련한 대구·경북 행정통합 기본구상안은 현재의 1광역시 8개 구·군과 1광역도 23개 시·군을 대구경북특별자치도 31개 시·군·구로 조정하는 안을 담았습니다.

2022년 7월 특별자치도를 출범하는 게 목표입니다.

출범식에 이어 열린 공론화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공론화위원회 임무와 기능 대한 열띤 논쟁 이어졌습니다. 회의에서는 시‧도민의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공론화위원회가 행정통합이라는 방향성을 결정해놓고 가는 양상에 대한 지적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또 “위원들조차 행정통합에 대해 100%이해 하지 못한 것 같다”며 “공론화위 내부에서부터 공감대 형성이 필요한 것 아니냐” 는 의견이 이 나왔습니다.

한편, 각 시도 시민단체가 주도하는 400명 규모의 ‘대구경북 범시도민추진위원회’도 다음달 출범할 예정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