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지방이전은 지역에 온기를 불어 넣는 불씨가 되고 있다. 대구 혁신도시로 이전한 한 공공기관은 이전 7년째인 지금 전 직원 중 20% 정도만 외지에 집이 있고 80% 정도는 대구에서 생활하고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차차 기관 인력의 현지화가 이뤄지고 있다. 또 직원이 퇴직하거나 결원이 생기면 자연스레 지역 인재를 채용하면서 지역에 연고를 둔 직원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가 2차 공공기관 이전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벌써 전국 자치단체들의 물밑 공공기관 유치 경쟁이 치열하다. 이런 때에 경북도도 적극적으로 공공기관 유치에 나서야 한다. 김천 혁신도시에는 현재 12개 공공기관이 이전해 있다. 하지만 내실 면에서는 부실한 것이 사실이다.

국토부에서 낸 자료에 따른 혁신클러스터의 기업유치와 혁신도시 일자리 증가 현황(지난해 12월 기준)을 보면 경북은 유치 기업이 40개로 전국 최저 수준이다. 경남은 무려 434개, 전북 346개, 광주·전남 391개에 비하면 턱없이 적은 숫자다. 충북 55개, 강원 48개, 울산 45개 등에 비해서도 더 적은 수다. 이처럼 지자체마다 공공기관 이전은 물론 기업 유치에 혈안이 돼 있는데 경북은 그간 뭐했나 하는 의문이 들 정도다.

단순히 기업유치 실적을 따질 것도 아니다. 전국에서도 지방 광역 자치단체 가운데 도 영역 자체가 가장 넓은 지역 중 하나인 경북도로서는 한심한 결과인 것이다. 공공기관이 이전되면 그에 따른 유관 기업들도 지역으로 올 가능성이 높다. 경북도가 2차 공공기관 이전에 사활을 걸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현재 수도권에 남아 있는 공공기관이 365개 기관이고 이중 122개 기관이 이전 가능한 것으로 파악됐다. 122개 기관에 근무하는 인원이 약 5만8000명에 이른다. 공공기관 유치는 직접적인 인구 유입 효과는 물론 유관 기업의 이전으로 일자리 창출 효과도 누릴 수 있다.

전국의 10개 혁신도시 자치단체와 해당 광역자치단체가 혈전이다. 경북도가 김천 혁신도시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등 8개 기관을 유치 대상으로 지목하고 있다. 좀 더 많은 기관이 유치될 수 있는 방안이 없는 지 살펴야 한다. 지난 1차 혁신도시 이전에서 광주·전남이 전국에서 유일하게 공동으로 기관을 유치해 실리를 챙긴 것에서 배울 점이 있다. 경북과 대구가 긴밀히 협조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