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이 고령사회를 지나 초고령사회로 치닫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최신 통계로 확인되는 경북의 현실은 두려움을 넘어 암울한 지경이다. 지난달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북의 노령화지수는 188.8로 전남 198.3에 이어 광역자치단체 중 두 번째로 높다.

노령화지수 상위 15개 시군구 중 경북이 6개 시군으로 최고 많았다. 경남 4개, 전남 3개인데 비해 월등히 많은 수다. 고령화지수 전국 1, 2위가 경북이다. 경북 군위군이 794.1, 의성군이 714.7로 나타났다. 전국 4, 5위도 경북으로 청도군 613.8, 청송군 591.6이었고, 12위에 영양군 513.2, 봉화군이 508.9로 15위에 포함됐다.

65살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경북은 21.6%로 역시 전남 23.7%에 이어 두 번째였다. 전국 고령인구 비율 16.4%에 비하면 경북이 늙은 도시라는 것이 확연히 드러나고 있다. 경북의 초고령화는 해가 갈수록 가속화 하고 있다. 일할 수 있는 인구가 급속도로 줄어들고 출생률도 급감하고 있어서 경북 23개 시군의 대부분이 지방소멸을 우려해야 하는 지경이다.

이런 통계조사 결과를 보면 경북도가 그동안 펼쳐 온 출산 정책을 비롯한 인구 정책이 전혀 먹혀들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통계조사 결과가 발표될 때마다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지만 그때 뿐이다. 지방소멸이란 말이 어제오늘에 나온 말이 아닌데 지방의 고령화는 정부의 최우선 국정과제에서 멀리 밀려나 있다.

지방이 소멸한다고 아우성이지만 문재인 정부 들어 수도권 집중은 더욱 심화하고 있고, 지방에는 노인만 남아서 빈 집을 지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초고령화의 급속 진행은 재앙이나 다름없다. 경북을 비롯한 전남, 전북, 강원 등은 고령화를 막지 못하면 도시 자체가 공동화될 것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지난달 “특단의 대응 없으면 우리나라는 2030~2040년부터 인구절벽에 따른 ‘인구지진’이 발생할 것”이라 했다. 인구지진은 사회를 파괴하는 고령화의 충격을 지진에 빗댄 말인데, 경북과 전남 등은 이미 인구지진의 충격이 현실화 하고 있다. 지방의 초고령화 대책 마련을 위한 국가 사회적 논의를 더욱 치열하게 해야 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대응으로는 막을 수 없는 ‘인구지진’에 대한 정부 차원의 대책을 내놔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