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0대 교육·집마련 등 중점
50대 기점으로 저축률 상승세
고령화·실버문화 강세가 원인

한국인들은 50대 이후 인생의 황혼기에 소비를 통해 여생을 즐기기보다 오히려 청·장년기에 비해 더욱 허리띠를 졸라매고 저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G경제연구원은 1일 ‘50대 이후 저축률 상승의 배경과 영향’ 보고서에서 통계청의 연도·연령별 가계 저축률 통계를 이용해 1969년 당시 가구주의 나이가 25~29세였던 가계의 저축률을 추적한 결과, 이같은 현상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현재 가구주 연령이 60세를 넘어선 이 가계의 저축율은 25~29세 연령대에서 9.2%, 30~34세 13%, 35~39세 25.7% 등으로 높아진 뒤 40~44세 21.6%로 떨어졌고 45~49세에는 18.9%까지 낮아졌다.

그러나 저축률은 50대를 기점으로 ▲50~54세 28.1% ▲55~59세 22.9% ▲60세 이상 32.9% 등으로 높아져 오히려 20대나 30대의 비율을 앞질렀다.

고령층의 활발한 저축 현상은 이같은 가상(假象) 가계의 연령대별 추이뿐 아니라 여러 가구를 연령대별로 같은 시점에서 조사한 결과에서도 나타났다.

지난해 통계청의 가구주 연령대별 저축률 통계에 따르면 가구주가 55~59세, 60세 이상인 가계의 저축률은 각각 29.2%, 32.9%로 25~29세의 26.4%, 30~34세의 28%, 35~39세의 26.0%를 웃돌았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이같은 ‘N’자형 연령별 저축률 곡선은 한 개인이 청·장년기의 저축을 중년 이후 헐어 쓴다는 ‘생애주기 가설’이나 미국의 ‘역(逆) U’자형 연령별 저축률 곡선과 크게 다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상하 연구원은 “일본이나 대만서도 가구주가 중장년기에 접어든 뒤 가계 저축률이 크게 떨어지지 않는 모습을 보이지만 우리나라처럼 40대 중후반에 저점을 찍은 저축률이 다시 상승하는 형태는 발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이같은 현상이 자녀교육비 지출 일단락, 자녀 결혼비용 부담, 노후불안, 강한 유산상속 의지 등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