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준구(비학공인중개사 소장)

요즘 개그 프로그램에서 잊혀져 가는 여러 가지 전통놀이나 이야기들을 재미있게 엮어서 웃음을 주는 코너가 화제다.

하지만 잊혀져가는 것들이 비단 전통 놀이 뿐만은 아닐 것이다.

소시적 골목 어귀마다 자리 잡고 있던 구멍가게며 어느 동네나 부잣집으로 통했던 쌀가게, 계란이나 야채 종류를 전문으로 파는 부식 가게등 어지간한 상점들은 동네에서 거의 사라지고 전통시장에서나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듯하다.

이들이 빼앗긴 동네 상권에는 식당이나 주점등 획일적인 종류의 가게들만 우후죽순처럼 생겨나서 서로 경쟁하는 다양성이 결여된 상권만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렇듯 기형적 동네 상권이 형성되는 것에는 넓은 지역까지 영향을 미치는 대형마트와 기업형마트 등이 동네 상권을 대신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현대인의 생활이 바빠지고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면서 힘든 발품을 팔아야 하고, 없는 시간을 쪼개서 일일이 가격을 따져 봐야 하는 동네상점이나 재래시장보다 자동차로 잠깐 가서 여러 종류의 제품들을 한 곳에서 가격비교까지 해보면서 살 수 있으며 지불결제까지 용이한 대형마트 등이 현대인들에겐 편리한 것이 당연하기 때문이다.

또 밤늦게까지 영업을 하고, 유통구조상 대량으로 구매해 소비자에게 판매하기 때문에 가장 저렴할 것이라고 소비자들은 예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대형마트 등이 우리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까지 모두 좋을 수 있는 것만은 아닐 것이다.

대형마트 등은 일부 품목을 제외하곤 중앙에서 구매를 담당하므로 지역의 생산과 소비가 불일치하게 되고 지역 생산자들의 생산품의 판로의 문제가 야기되며 재래상권의 붕괴로 대량실업을 양산하게 된다. 또한 매출액의 많은 부분이 본사로 보내지기 때문에 지역 자본의 역외 유출이 심해지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로 재래상권에서도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다지만 재래상권의 특성상 대형상권에 대항하기에는 다소 무리인 것도 주지의 사실이다.

그래서 요즘 각 지자체에서 대형마트 등의 영업시간 등을 규제하기 위해 여러 가지 조례를 만든다고 하지만 이것마저도 쓰러져가는 재래시장과 동네상권을 회생시키기 에는 턱없어 보인다.

우리들은 이런 사실들을 어렴풋이 알고는 있지만 나와 직접 관련이 없는 일이라 방관하기 십상이다. 하지만 퇴직 후에도 자영업을 희망하는 요즘 같은 평생 근로시대에 퇴직자가 선택 할 수 있는 거라곤 음식업과 임대업등 몇가지 뿐이라 또다시 무한 경쟁에 내몰릴 수밖에 없는 것이다.

끝으로 대형마트 등도 지역 경제에 환원하기 위해 지역의 각종행사와 고용 등에 참여하고 있으며 지역민들의 문화생활 향상에 이바지하고 있어 이제는 현대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생활문화이며 경제의 한부분이다.

그러나 재래상권이나 동네상권들도 우리 이웃이며 가족들의 생활의 기반인 것이다.

어느 한쪽이 좋다 나쁘다 하기보다는 서로의 장점이 잘 표현되어지도록 지역민들의 관심과 제도가 선행돼야 하며 서로 상생 할 수 있는 지혜가 필요 할 때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