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준호기자의 울릉도·독도이야기(11)

가을이 되면 울릉도 근해에는 방어잡이 낚시꾼들의 즐거운 비명소리가 들려온다.

이들은 새벽녘부터 방파제, 갯바위 또는 선상 낚시로 짜릿한 손맛을 즐기고 있다.

울릉도·독도의 방어 낚시꾼들은 오징어 살· 내장, 살아있는 전갱이 등을 낚시 미끼로 사용한다.

때문에 강태공들은 틈틈이 항구 내에서 살아있는 전갱이를 잡아 보관하는 극성을 부리기도 한다.

농어목 전갱이과인 방어는 긴 방추형으로 옆으로 납작하고 등 쪽이 회색을 띤 청색이고 배 쪽은 은백색이며, 다 자라면 몸길이가 1m도 훌쩍 넘는다.

강태공들이 방어 낚시에 즐겨하는 이유는 폭풍 입질과 엄청난 파워로 인한 짜릿한 승부의 묘미를 느낄 수 있다는 것.

방어·부시리·잿방어 구분법. (자료제공= 독도수산연구센터)

낚시 줄 하나에 의지한 채 낚시대가 수면까지 휘어질 정도의 엄청난 파워에다 릴을 감았다 풀기를 반복하다 보면 제압당한 방어의 하얀 뱃살을 수면에서 볼 수 있다.

승부는 이것이 끝이 아니다. 선상이나 갯바위에 올라온 방어는 죽기 전 마지막 힘을 짜내듯 이리저리 날뛰며 꾼들과의 마지막 승부를 펼친다.

옛부터 산란을 준비하기 위해 살이 오른 가을 방어를 의뜸으로 쳐 해마다 방어철이 되면 방어를 잡기위해 수많은 낚시꾼들이 울릉도를 찾는다.

수중에서의 방어떼는 육중한 몸체에도 불구하고 일사분란하고 빠르게 움직여 스킨 스쿠버들이 넋을 놓는다.

방어떼는 주위를 경계하는 등 일사분란한 움직을 보이며 장관을 연출하고 있다.

방어떼는 인간을 경계해 먼거리서 선회할 뿐 좀처럼 거리를 주지 않는다.

울릉도 주민들은 가을 방어를 잡으면 회, 구이, 매운탕 등으로 즐겨 먹는다.

때로는 알맞은 크기로 장만해 소금에 저려 냉장 및 냉동 보관했다가 겨울철 폭설이 내려 고립됐을 때 무 등을 넣고 자박하게 끓여 먹기도 한다.

울릉도·독도 연안에는 여러 종류(?)의 방어가 있는데, 그 구별법을 알아보자.

◇방어

가을이 되면 울릉도 근해에는 방어잡이 낚시꾼들이 새벽부터 선상 낚시로 짜릿한 손맛을 즐기고 있다.

방어는 농어목 전갱이과의 온대성 어종이다.

난류를 따라 수심 6~20m 중하층에 헤엄쳐 다니며 주로 봄·여름에는 북쪽으로, 가을·겨울에는 남쪽으로 계절회유를 한다.

정어리, 멸치, 꽁치, 고등어 등을 섭취하며 산란기는 2∼6월로써 먼 바다에서 부유성 알을 낳으며 부화 후 1년이 되면 약 30cm까지 자라며 성어는 1m 가 넘게 자란다.

몸 색깔은 어두운 청색, 배쪽은 은백색을 띄며 몸 중앙부에는 황색의 새로띠가 있다.

방어를 두고 강원도 일부지역에서는 ‘방치바르미’, 경상도에서는 ‘사배기’, 함경남도에서는 ‘마래미’라고 부른다. 일부지역에서는 방어 새끼를 ‘사배기’라고 한다.

낚시꾼들이 방어철을 맞아 울릉도 사동리 갯바위에서 엄청난 파워를 가진 방어를 제압하고 있다.

◇부시리

부시리는 방어의 사촌격으로서 가장 비슷해 구별하기 어렵다.

방어를 두고 ‘히라스’라고 불리는 것은 일본에서 부시리를 히라마사(ヒラマサ)라고 부르는 게 잘못 전달된 것이다.

부시리는 포항지역에서 ‘납작방어’, 전북에서 ‘부수리’로 불린다.

방어랑 부시리의 구분법은 전문가들과 어부 및 전문 낚시꾼이 아니면 잘 구분 못한다.

방어는 눈 뒤편에 있는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가 길이가 비슷하고, 부시리는 배지느러미 보다 짧고, 위턱의 맨 뒤끝 모서리가 둥글다.

◇잿방어

주민들이 독도항에서 간단한 채비로 방어를 낚고 있다.

잿방어는 방어의 육촌격인데 울릉도·독도 근해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방어에 비해 따뜻한 물을 좋아하는 잿방어는 일본에서 칸빠치(カンパチ), 제주도에서는 배기, 포항지역에서는 납작방어 등으로 불린다.

잿방어는 방어에 비해 통통하며 체고가 높으며, 눈 뒤편으로 갈색띠가 나있다.

(자료협조= 국립수산과학원 독도수산연구센터)

독도 수중에서 만난 잿방어.
방어떼가 바닷속을 유유히 이동하고 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