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득기자

국립경주박물관 경내 옥외 전시 유물 도난 사건을 계기로 비지정 석조 유물의 도난과 멸실,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경주지역 행정기관간의 공조체제 확립이 시급하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경주지역에서 비지정 석조 문화재의 허술한 관리는 이미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공공기관의 화단에서 흔히 볼수 있는 비지정 석조 유물은 그나마 사정이 나은편. 수많은 비지정 석 유물들이 개인 주택의 주춧돌이나 조경용으로 흩어져 관리 부실로 훼손, 멸실되가는 것은 이미 오래다.

황오, 황남, 노동, 노서 고분군 지역의 정비지구내 철거 민가에서 수많은 석조 부조물이 나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실제 회수된 것은 미미하다.

고급 주택의 경계석과 조경석 가운데 일부가 유적에서 음성적인 경로로 흘러나온 초석(礎石) 등으로 추정된다는 소문도 있다.

사정이 이런데도 지역에 산재한 비지정 석조 유물에 대한 관리 실태는 수십년동안 단 한번도 파악되지 않았고, 당연히 그 수는 짐작 조차 할 수 없는 상태다.

대책도 막연하기 짝이 없다.

‘자진신고 기간을 설정해 신고를 유도하고, 향후 철저하게 확인 작업을 하겠다’는 원론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국립’경주박물관의 문화재 관리도 허술하기 짝이 없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렵게 됐다.

2002년 5월 유물실사를 한뒤 이 번까지 2년 5개월간 박물관에 전시된 유물이 없어진 사실을 박물관 직원 중 아무도 몰랐다는 것이다. 경주박물관은 사건이 터지자 긴급히 1억3천만원을 투입해 외곽지역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는 부산을 떨고 있다.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다.

이제부터라도 비지정 석조 문화재 보조관리대책 수립을 위한 경주시와 박물관 등 관계기관의 종합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보안 시스템의 강화는 필수다.

최근 경주시의회의 한 의원이 시정 질문을 통해 제기한 것처럼 IMF사태때 전국으로 확산됐던 금모으기 운동처럼 ‘석조문화재 되찾기 범시민운동’을 전개해 시민들의 관심을 촉구한 것도 눈여겨 볼만하다.

또 일부에서는 밤 시간대에 대형 석물 등을 운반하는 화물차에 대한 검문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모두 귀담아 볼만한 제안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시급히 전수 조사를 통한 실태 파악과 박물관, 문화재 연구소 등 전문기관과 종합적인 보존관리대책을 수립하는 것이다.

문화유산의 훼손과 도난의 방치는, 유산을 물려준 선조들에게 또한 그 문화유산을 잠시 빌어 쓰고 있는 후손들 모두에게 오늘을 사는 우리 모두가 돌이킬수 없는 죄를 짓는 일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