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들의 출신학교와 기업의 경쟁력 사이에는 정말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는가?"
충북대학교 정세근 교수와 삼성경제연구소 장상수 인사조직실장은 30일 오후 서울 중구
을지로1가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열린 '입사지원서의 차별적 항목 개선을 위한 토론회'를 통해 이
문제에 대한 격론을 벌였다.
학벌없는 사회 운영위원인 정 교수는 먼저 "학벌과 기업 경쟁력 사이에는 아무 상관관계가
없다"며 "한국이 선진국에 진입하지 못하는 가장 큰 까닭도 바로 학벌문제에 있다"고 단언했다.
정 교수는 "오히려 학벌의 타파야말로 기업의 생존을 좌우할 수 있다"며 "이런 의식 아래
입사원서에서 출신학교 이름을 삭제하는 것은 기업의 생존전략임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교수는 또 "기업이 학력(學歷)을 학력(學力)처럼 호도하며 학교 이름을 통해 서울과 지방,
일류와 삼류, 본교와 분교, 지역과 지역을 암암리에 차별하려 한다"고 비난했다.
이어 "이같은 학벌주의는 지역주의의 망령, 분리와 통치라는 식민지적 발상, 명패 위주의
전근대적 신분제도의 잔재, 그리고 분권을 저지하는 중앙집권적 폭권의식에서 비롯됐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이에 따라 "입사원서의 '출신학교 이름'이라는 빈칸이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을
가로막고 있는 학벌주의를 담는 그릇임을 우리 모두 인식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이에 대해 장 실장은 "한국의 경우 출신학교와 기업경쟁력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 단정적으로 결론짓기가 어렵다"고 반박했다.
장 실장은 "다른 나라의 경우도 이 점은 마찬가지이다"며 "나라마다 공교육의 내용에 따라
상관관계가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고 말했다.
장 실장은 따라서 "이런 상황에서 기업이 모든 대학 졸업생이 동등하다고 여기고 학력을
무시한 채 입사지원서에서 출신학교 이름을 삭제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회사가 지급하는 직원 1인당 평생 인건비는 10억에서 15억원에 이른다"며 "회사가
자칫 능력미달자를 채용해도 한국의 경우 해고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국가인권위는 지난 1월과 6월 모두 100개의 국내 기업체에 입사원서에서 출신학교
등 차별적 요소로 쓰일 수 있는 기재사항들을 삭제하거나 수정하라고 제안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이 지원자의 질병이나 재산사항 등에 대해서는 삭제 의사를 밝혔으나
출신학교 이름에 대해서는 LG CNS, SK건설 등 8개 업체만이 삭제하겠다고 통보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