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개혁연대 준비위원회가 시민운동 활동가들을 내년 지방선거에 내세우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른바 ‘개혁 후보군’을 단체장 및 지방의원 후보자로 출마시켜 지방정치권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려는 선언인 셈이다.
NGO(비정부기구) 활동가들의 정치참여 선언은 그리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지방자치단체의 직접선거가 부활되었던 첫 선거 당시에도 시민연대가 가동된 바 있지만 여론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 두번째 지방선거에서는 시민단체의 활약상에 힘입어 시민단체 출신들이 두각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를 바탕으로 ‘자치연대’가 내년 선거에는 700~800명 정도의 후보를 출마시키겠다고 선언한 것은 그들이 더이상 ‘주변’에 머물면서 펼치는 개혁활동에 만족하지 않고 ‘중심‘에서 변화를 모색하려는 강한 의지로 해석할 수 있다.
전문성과 덕망을 갖춘 시민운동가들이 지방정가에 많이 진출하여 지방개혁의 중심에 선다는 것은 바람직스러운 일로 봐야 할 것이다. 그들은 여러가지 어려움을 무릅쓰고 ‘공공선’(公共善)을 추구한 개혁성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래서 지난번 그들이 지방 선거에서 약진했을 뿐만 아니라 여론 조사에서도 단체장이나 의원후보자로서 가장 바람직한 후보는 시민운동가출신이라는 말을 듣기도 했다.
하지만 시민운동가들의 정치무대 진출과 참여는 아직도 넘어야 할 장벽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정치와 시민운동간의 엄격한 구분을 두고 시민운동을 하다가 정치를 하면 마치 순수성을 잃은 것처럼 인식되고 있는 까닭이다. 그래서 참여연대의 경우 임원은 정당활동을 정관으로 제한하고 있다.
시민운동을 자신의 정치적 자산으로 활용하는 것은 자제되어야 하며, 기존의 정치권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사회운동가들은 일정기간 동안 활동을 멈추고 휴식기를 가지면서 개인으로 돌아가는 의식을 거쳐야 한다는 주장도 만만 찮다. ‘시민단체는 시민단체로만 남기를 원하는 시민의 생각’을 어떤 방식으로 얼마나 바꿀 것인가가 자치연대의 과제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