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포항지역 일부 초등학교가 특기적성교육 강사들에게 학교발전기금을 거둬들인 것과 관련해 문제를 불러일으킨 바 있다. ‘학발금’의 모금 방법에도 문제 있지만 특기적성교육에도 적지 않은 분쟁의소지를 갖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지난 98년 입시교육위주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특기와 적성을 살려서 창의적이고 올바른 인간을 육성하겠다는 뜻에서 국민의 정부가 교육개혁의 일환으로 보충수업을 페지하고 ‘특기교육’을 시작했다.
3년이 지난 지금 일선학교의 특기교육이 당초 교육개혁의 목적대로 실현되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아마 일부 학교를 제외한 대다수 학교는 지난날 보충수업과 다름 없는 교육이 진행되고 있고 이름만 특기적성 교육이라 붙였을 뿐이다.
고3을 제외하고는 학교가 특기적성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대부분 명칭만 다르게 바꿨을 뿐 주로 입학시험 성적과 관련된 영어, 수학, 과학이나 컴퓨터 등에 치중하고 있다는 것이다. 설사 다양한 특기과목을 개설할지라도 참여 학생의 수가 적으면 그 과목은 실시될 수 없다. 학교보조금이 부족한 상황에서 소수학생들이 내는 수업료만으로 외부 전문강사를 확보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진정 원하는 ‘수요자에 의한 특기적성교육’이 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대다수 학생은 방과후 특기적성교육을 원치 않고 있다. 작년 한국청소년개발원이 초중고생 1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그것을 입증했다.
‘방과후 특기적성교육이 필요하냐’는 질문에 대해 초등학교는 52.8%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지만 중학교는 22.3%, 고등학교는 19.3%만 긍정적으로 반응했으니 말이다. 또한 학교교사가 맡는 특기교육에 대해서 매우 부정적인 반응을 드러냈다. 학생 65.5%가 교사가 아닌 전문강사를 원했다.
초등학교를 제외하고 대다수 중등학교들은 실제 특기적성교육이 아닌 국·영·수 등 수능과목을 위한 보충수업을 하고 있다. 그럴바에는 정부가 특기교육을 폐지하는 것이 바로 진정 수요자를 위한 교육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