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동해 경제권’ ‘환태평양 경제권’ 하는 말들이 지금 낯선 말이 되고 말았다. “미래는 바다에 있다. 태평양을 낀 각국 도시들, 혹은 동해안을 낀 각국 도시들이 협력해서 하나의 경제권을 형성한다면 상당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이러한 전망밑에서 이 논의는 10년전부터 시작됐었다.
그에 따라 ‘포항 경주 중심의 환동해 경제권 거점도시’에 관한 논의가 수년간 잇따랐다. 많은 심포지엄과 포럼이 열렸고, 원대한 청사진에 다양하게 제시됐다. 그 계획안을 마련하는 일에 지역의 고급 두뇌들이 총동원되다 시피했다.
그러나 ‘말’만 무성할 뿐 ‘실천적 움직임’은 보이지 않았다. 이 일을 추진해나갈 기구도 구성되지 않았다. 경제계, 학계, 자치단체 대표들로 이루어진 중심체가 형성되고 실무추진단이 구성돼야 한다는 말은 나왔지만, 과감하게 밀고나갈 의지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다가 IMF를 맞으면서 이 논의는 점점 꼬리를 감추었다. 우선 발밑의 일에 정신이 팔렸고, 미래의 일에는 생각이 돌아갈 여유가 없었다. 그러나 그 사이에도 강원도와 일본에서는 환동해경제권 형성을 위한 가시적 움직임을 보였다.
강원도 속초시와 동해시는 중국, 러시아, 일본 등의 자치단체장들과의 활발한 간담회를 열었고, 광역자치단체가 중심적 역할을 했다. 환동해권 5개도시와 북한이 참여하는 ‘환동해 해양관광축제’, 일본, 중국의 환동해권 도시들과의 ‘황금의 6각계획’ 등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계획을 세워 추진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니이카다를 중심으로 한 연안 도시들이 ‘환일본해연구회’를 구성해 강원도의 구상과 연합추진을 시도해오고 있다.
말만 무성할뿐 구체적 움직임이 없던 경북의 환동해경제권 구상은 결국 ‘흘러간 옛노래’가 됐다. 지난 11월에 열린 한 중 일 러 4개국 8개대학이 참가하는 대학협의회에서 경북권 대학들은 끼지도 못했고, 강릉대와 울산대가 참가했다.
내년 선거에서 다시 ‘환동해경제권 형성문제’가 선거용 이슈로 등장하겠지만, ‘백마디의 말보다 한가지라도 실천하는’ 그런 모습을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