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창한 봄 날씨 뒤에는 언제나 뿌연 황사가 고개를 든다. 중앙아시아 고비사막에서부터 발원하는 황사는 봄철이면 중국과 한국 그리고 일본의 대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호흡기질환에서부터 사정거리의 문제까지 다양하게 우리생활에 지장을 초래한다. 우리는 어련히 봄에는 황사가 불어와 우리생활에 약간의 지장을 줄 뿐 생명에는 큰 타격을 주지 않으므로 별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고 매년 그렇게 흘려 보낸다.
사실 우리는 공기의 질에 대해서는 무감각하게 지내고 있는 것 같다. 실제 행정업무에서도 도시지역의 대형 구조물이나 도시계획을 추진할 때도 대기나 기상의 인자에 대해서는 비중있게 고려하지 않는 실정이다.
공항과 같은 기상의 영향을 많이 받는 구조물 외에도 대형아파트단지나 병원 그리고 고속도로 인터체인지 등도 사실 계획할 때 바람방향이나 대기의 질에 대하여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늦은 가을 지표기온이 갑자기 차가워져 이른 아침에 안개가 자주 끼이는 공항은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바람이 잘 부는 탁 트인 곳에 공항을 건설해야하는 데도 우뚝 선 산기슭 아래에 공항을 지어 첫 비행기가 결항되는 예를 우리는 자주 본다. 어느 도시의 경우 그 도시의 관문인 고속도로 인터체인지를 들어서면 창문으로 들어오는 악취 때문에 숨을 쉴 수가 없어 첫인상이 망가져 버린다. 바람의 풍향을 고려하지 않고 하수처리장을 그곳에 지었기 때문이다.
도시생활에서 주택부지를 선정하거나 이사를 할 때 대상지역의 공기의 질에 대해서는 별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교통이나 경제적가치 그리고 학군과 같은 인자에 대해서 주로 우선순위를 둔다. 얼마나 깨끗한 공기를 지니고 있나에 대해서는 무감각하게 대처한다. 보이지 않는 공기에 대해서는 미처 챙기지 못하는지도 모른다. 자동차배기가스로 인한 대기오염이 우리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담배연기가 신체에 미치는 장애에 대해서는 매우 관심이 높다.
그러나 막상 우리동네의 대기가 어느 정도의 깨끗한 성분을 지니고 바람은 어느 방향으로 불어서 공기가 이동되는지에 대해서는 막연하게 알 뿐이지 거기에 대한 지역별 수치에 대해서도 알지 못한다.
우리나라에는 아직 도시의 세부적인 지역단위로 정확한 공기의 질에 대하여 자료가 축적되어 공개되지 않고 있다. 아울러 황사와 에어로졸의 수치를 도시의 지역별로 예보해 준다면 훨씬 생활에 도움이 될 것이다.
황사에 관한 연구도 동부아시아 각국에서 왕성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의 결과를 정보화하여 일반인에게 알려준다면 생활의 지침이 될 수있으리라 생각한다. 어느날에는 어느 정도의 황사가 어디까지 뻗치겠는가를 지도상에 정확하게 그려 예보해 준다면 훨씬 도움이 될 것이다.
선진국에서는 노인세대의 주거지로서 깨끗한 공기를 지닌 동네를 가장 선호함을 익히 알고 있다. 스모그가 가득한 산업시대 대도시의 정경은 이제 디지털시대에는 옛추억이 되었다. 그러나 대기의 적으로 나타난 황사는 이 시대 우리의 새로운 골칫거리다. 꽃가루와 함께 봄의 화창한 공기를 어지럽히는 악동들이다. 우리나라도 우리 고유의 기상위성을 가까운 장래에 발사하기 위하여 센서를 개발 중에 있다. 보이지 않는 공기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바로 알 수 있는 날이 멀지 않았다. 우리가 살고 있는 동네의 쾌적한 공기를 만들기 위하여 우리는 어떠한 노력을 해야할까? 우리의 또 다른 하나의 과제이다.

조 명 희 - 경일대 교수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