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건설업체 기반이 뿌리채 흔들리고 있다.
전국 6개 광역시 일반건설업체의 발주 건설물량을 비교해 보면 지난 97년에는 1조1천600억원으로 부산 1조2천462억원에 이어 2위를 기록했고, 3위 인천(5천억원)과도 큰 간격을 벌이고 있었다.
하지만 IMF를 맞은 98년에는 지역에서 ‘트로이카’ 시대를 누렸던 청구 우방 보성이 법정관리 및 부도 등의 영향으로 발주량(5천400억원)이 절반수준으로 뚝 떨어졌다.
다른 도시의 ‘소폭 감소‘ 및 ‘비슷한 수준’을 감안하면 지역의 경우는 건설업 침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다.
급기야 지난해 말에는 대구지역이 2천970억으로 부산 및 인천과는 각각 2.5배, 2배의 격차가 벌어졌고, 도시규모가 지역보다 적은 광주 대전 울산과 비슷한 수준의 발주량을 보이고 있다.
지자체별 발주공사의 업체당 평균수주액도 지난 97년 전국 1위에서 해마다 1단계씩 내려앉아 지난해 말에는 6개 광역시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우려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일반 건설업체의 붕괴는 그동안 ‘협조 및 공생(?)’관계를 유지했던 지역 전문건설업체의 설자리마저 빼앗고 있는 형국이다.
현재 지역에는 한국도로공사가 추진하는 현풍∼김천, 대구∼포항, 동대구∼구미, 88고속도로 성산∼옥포구간 등 4곳의 고속도로 공사에 총 5조여원의 대규모 물량이 쏟아졌지만 지역 전문업체의 하도급 수주액은 고작 300억원을 밑돌고 있다.
역외 일반업체가 공사를 독식하다보니 지역 전문업체들 마저 설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특히 기술력과 노하우 축적을 할 수 있는 대형공사에 참여하지 못함으로써 앞으로의 자생력 상실은 당연한 수순이다.
지역경제의 버팀목이였던 건설업의 붕괴는 대구경제 전반의 몰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시점에서 대구시와 일선 구·군청, 일반·전문건설협회 등 관련 기관은 지역업체 참여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골몰해야 한다.
윤용태기자
yty@kyongbuk.co.kr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