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중국의 고구려사 편입 주장에 이어 새해벽두부터 일본 고이즈미총리의 독도 영유권 주장이 잇따라 터져 나오면서 온나라가 역사지키기로 떠들썩하다.
특히 일본의 독도소유권주장이 한국의 독도우표 발행으로 또다시 제기됨에 따라 전국에서 규탄대회를 가지며 극일(克日)의 의지를 다졌다.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은 해방이후 매년초마다 이어지면서 연례행사화 됐다.
특히 90년대 후반 EEZ(배타적 경제수역)구획을 둘러싼 한일어업협정이 본격화되면서 독도분쟁은 민족감정으로 비화되어 온 나라가 당장에라도 일본을 요절낼 듯 들썩거렸다.
지난 2000년 울릉도에 근무하면서 독도방문 기회를 가졌던 기자는 몇차례 속앓이를 했다. 당시 우리 정부는 2002 한일월드컵 성공개최를 위해 어떻게든 민심을 달래려고만 했고, 일부 단체는 反日기류에 편승 장삿속 채우기에 나서기도 했다.
서울에 산다는 어느 시민의 울릉도와 독도사이를 헤엄쳐 건너고 싶다는 문의에 92㎞나 된다고 확인해 주었더니 20km도 채 되지 않는 줄 알았다는 말에 실소를 금할 수 없었다.
독도를 사랑하는 마음이야 가상하지만 우리의 현실인식이 감상적 차원임을 확인해주는 것 같아 씁쓸하기 그지 없었다.
하기야 독도와 관련돼 있는 정부관련부처 즉 해양수산부와 문화재청, 그리고 외교통상부와 교육부 관계자들중 독도를 밟아본 사람은 몇이며, 독도의 역사를 알고 있는 사람이 몇이랴.
그러나 일본은 이미 100여년전부터 독도의 중요성을 간파하고 자신들의 땅으로 만들기 위해 갖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국제사회에서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매년초만 되면 총리나 문부성장관, 대장성장관 등 내각 주요인물들이 망언릴레이를 일삼았다.
통상적으로 국제법상 영토영유권 시효가 100년으로 인식되고 있는 현실상 이같은 일본의 태도는 지속적으로 영유권을 주장함으로써 국제사회에서의 시효를 연장시키기 위한 수단이란 게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일본은 독도를 자기네 땅으로 만들기 위해 철저하게 계산된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우리는 그때 그때 임기응변식으로 대처함으로써 항상 뒷통수만 맞는 격이된다.
중국의 고구려사 편입문제 역시 이와 별반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다.
중국은 한반도가 통일될 경우 한민족의 고토(古土)였던 간도지역(두만강 이북지역) 영토분쟁에 대비해 고구려를 중국역사속으로 편입시킴으로써 일찌감치 국경분쟁의 여지를 없애겠다는 속내를 드러낸 것이다.
이런 상황인 데도 우리 교육부는 2005년도 대입 수능고사에서 국사를 선택과목으로 격하시킨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정부는 이불속에서 고함만 외칠게 아니라 민족혼이 살아움직이게 역사교육에 힘을 쏟는 한편 주변국들의 도전에 맞설 수 있는 이론적 토대와 역사적 증거 제시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이종욱기자
ljw714@kyongbuk.co.kr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