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이후 줄곧 외쳐온 ‘지역경제 살리기’가 실속없는 빈 껍데기로 전락하고 있다.
대구경제를 이끌었던 섬유업이 날로 침체 일로를 걷고 있는 상황에서 주택건설업이 지역경제를 견인한다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작년 호황을 누리던 아파트 사업이 정부의 10·29 부동산 종합대책으로 된서리를 맞았다.
최근에는 부동산 경기 침체가 시작되자 투기과열지구 해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 사업의 양적 확대를 염두에 둔 지적이다.
하지만 속내를 깊숙이 들여다보면 변죽만 울리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기자가 대구 도심내 아파트 등 외지업체가 시공하는 대형공사현장을 취재한 결과에 따르면 총 4조∼5조원에 달하는 공사금액 중 지역 전문업체 하도급 수주액은 10%대 미만이다.
또 대구·경북지역에서 추진되고 있는 현풍∼김천간, 성산∼옥포간 88고속도로, 대구∼포항간, 동대구∼구미간 고속도로 등 4곳의 신설·확장공사에 총 5조여원이 투입되고 있지만 지역 전문업체의 하도급 수주액은 고작 300억원(공사금액 대비 0.5%)에 머물고 있다.
이것이 지역 빈 껍데기 경제의 현 주소다.
경제살리기 구호에도 불구하고 지역경제가 빈사상태에서 허우적거리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최근 시민들의 호주머니를 겨냥한 각종 아파트 공사가 홍수를 이루고 있지만 지역 업체의 공사참여는 원천적으로 봉쇄 당한 채 자금이 모조리 역외로 유출되고 있다.
시민들의 얇은 지갑은 씀씀이 위축으로 이어져 주택건설업과 함께 지역 경제의 양대 산맥을 이루던 지역 백화점 등 유통업체들이 2002년부터 내리 매출감소를 보이고 있다.
시민들은 죽겠다고 아우성이다.
무엇보다도 각종 허가권을 쥔 대구시나 행정당국이 그동안 보수·소극적으로 몸사리기에 급급한 행태에서 벗어나 지역 챙기기에 적극 나서야 한다.
민간공사에 대한 외지 및 지역 업체간 컨소시엄 혹은 일정비율하도급 제도화 등을 외면한다면 지역경제 몰락의 방관자로 지목 받을수도 있다.
윤용태기자
yty@kyongbuk.co.kr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