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공항 통합이전에 대한 추진방식 및 일정이 확정됐다.

추진방식은 군공항 K-2와 민간공항을 통합이전하되 군공항은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기부 대 양여 사업으로 진행한다.

민간공항은 국토부 사업으로 추진해 동시에 이전을 마치며 건의서 평가, 조사용역 등을 거쳐 올해 내 이전 후보지를 선정, 발표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석준 국무조정실장 주재로 대구공항 통합이전 태스크포스 3차 회의가 열렸다.

이날 회의에서 권영진 시장과 국방부 차관을 비롯한 정부 측 관계자들이 사업 추진방식과 일정, 재원조달 방안 등에 합의했다.

지난달 11일 박근혜 대통령이 대구공항 통합이전을 지시한 지 한 달 만에 구체적인 사업추진 방식과 일정이 확정된 것이다.

그동안 2차례 열린 통합이전 TF회의에서 정부 주관부처인 국방부와 국토부, 대구시가 사업 추진방식과 일정, 재원조달 방안 등에 있어 각기 상반된 입장을 보여왔다.

사업추진 방식은 당초 국토부가 한국공항공사를 통해 현 대구공항 부지 매각대금 범위 내에서 새로운 민항시설을 건설,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구시는 합의안에 현 민항부지 매각대금 등을 활용, 국토교통부가 사업을 주관하도록 명시해 예산 부족 시 국비지원이 가능하도록 길을 열어 놓았다.

공항 규모도 대구공항을 지역 거점공항으로서 장래 항공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규모로 건설하기로 합의, 향후 확장 가능성에 대비할 수 있다.

사업 추진일정은 올해 말까지 이전 후보지를 선정하고 2017년 중 최종 이전부지를 선정하기로 결정했다.

시는 대구공항 통합이전이 대구·경북지역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해 기대감을 감추지 않고 있다.

K-2 주변지역 24만여 명의 주민들이 전투기소음에서 벗어나며 고도제한에 따른 막대한 개발피해도 자연스레 해소될 전망이다.

또한 새로 통합공항이 건설되는 경북 지역은 경제적 혜택이 돌아간다.

직접 지원사업비 3천억 원과 대규모 군부대가 주둔함에 따라 1만여 명의 인구가 유입돼 연간 5천억 원의 경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시는 통합공항 건설공사로 공사기간 동안 12조 원의 생산과 4조 원의 부가가치, 6만 3천여 명의 취업 유발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함께 K-2 이전 이후 종전부지 개발에 있어 범위를 K-2이전 후적지 200만 평으로 한정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그동안 고도제한으로 개발이 제대로 되지 않던 동·북구 지역까지 포함해 대구의 미래비전을 반영한 새로운 도시계획을 수립하는데 용이하다.

결국 시는 체계적으로 개발, 대구의 모습을 확 바꿀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현목 기자
김현목 기자 hmkim@kyongbuk.com

대구 구·군청, 교육청, 스포츠 등을 맡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