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상승 기미 보이지만 초불확실성 시대 지역경제도 예외 아니다"

이주석 대구경북연구원장 “불확실성 속 생존의 시대, 미래 새 먹거리 찾기 과제”
-지역 제조업 회복 징후 맞물려 수출 상승 기미, 주택시장도 안정 기대
-4차 산업혁명 대비한 지역 산업구조 재편, 불확실성 해소 원동력 될 것
-경험 갖춘 중장년 인력 새 유망산업 요구 기술 교육 정책, 맞춤형 일자리 지원책 필요

이주석 대구경북연구원장
이주석(59) 대구경북연구원장은 새해 대구와 경북지역 경제 화두를 ‘불확실성 속에서의 생존’으로 정하고, 투자보다는 미래 새로운 먹거리를 찾는데 고심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대내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지역 경제는 저성장 기조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 아이켄그린 버클리대 교수가 발표한 초불확실성(The Age of Hyper-Uncertainty)의 시대에 지역 경제도 예외가 될 수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관이 올해 세계 경제의 성장세가 다소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지만, 미국과 일본, 중국 등의 변화가 국내 경제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의 단계별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 신흥국을 중심으로 자금이탈에 대한 우려가 나타나고 있고, 유럽은 마이너스 금리 도입 등 유럽중앙은행의 양적 완화 정책이 2017년에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또 일본은 아베노믹스를 통해 대대적인 경기부양책을 펼쳤지만 경기회복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내는 데에는 실패함에 따라 올해도 활력을 되찾기는 힘들 것으로 보이고, 중국은 6%대 성장을 감수하면서 내수 중심의 구조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원장은 “앞서 말한 대외적 요인이 국내 경제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데, 국내외 경제기관들은 한국경제가 비관적일 수밖에 없는 평균 2.8% 수준의 성장을 이룩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경기 하향의 위험요소로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정책금리 인상, 보호무역주의 확산, 국내 정치불안에 따른 경제 심리 위축을 꼽았고, 조선·해운·자동차·철강 등 일부 제조업의 과잉설비·생산성 저하가 저성장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과잉설비·인력에 대한 구조조정도 예상된다고 했다. 이 밖에도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2013-2014년 5.8%에서 2015년 이후 10.1%로 증가하고,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의 금융부채 규모는 400조 원에 이르고 있어 가계부채문제도 해결할 과제라고 제시했다.

그는 “가계부채의 영향은 소비제약으로 경기회복을 늦추고, 금리상승 주택가격 상승 시 금융기관 건전성 저하, 금융 불안 요인으로 작용해 취약계층의 경제적·사회적 부담이 크게 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래서 이 원장은 지역 경제의 화두를 ‘불확실성 속에서의 생존’으로 꼽았다고 했다.

그는 긍정적 요인에 대해서 언급했다.

이주석 대구경북연구원장

침체한 지역 제조업은 최근에 다시 회복할 징후가 보이고 있고 끝없이 추락하던 수출도 최근 상승 기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제조업생산은 2006년도 수준에서 더 이상 하락하지 않고 있고, 끊임없이 감소하던 수출도 최근 수개월간 증감을 반복하고 있고 수출용 원자재 중심으로 급격히 감소하던 수입도 최근 감소세가 크게 둔화됐다”며 “부동산시장도 대구·경북지역 예금취급기관의 가계 대출 중 주택담보대출 비중은 대구가 74.6%, 경북이 65.0%를 수준으로 높지만, 아파트를 중심으로 한 주택시장의 가격조정으로 연착륙이 가능한 수준으로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지역 산업구조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첨단의료와 하이테크 신소재, 지능형 자동차, 로봇, 항공 등을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점을 주목했다. 불확실성을 헤쳐갈 수 있는 원동력으로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인공지능과 로봇기술, 생명과학 등이 주도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말한다.

실제로 대구·경북은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여 2030 미래성장엔진과 7대 스마트 융복합산업 등 지역 신산업 육성 전략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고, 대구와 구미를 중심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ICT 인프라와 포항, 경주의 첨단 가속기를 기반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다양한 신산업을 육성해 나가고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R&D 역량 강화를 위해, 대구는 첨단의료 및 뇌과학, 로봇, 3D 프린팅 분야를 중심으로 국책사업과 연계해 1천123억원을 투자하고 있고, 경북은 스마트 디바이스, 원자력, 바이오신약 중심의 R&D 사업에 770억 원을 투자하고 있다.

이 원장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지역의 선제 대응도 주문했다.

4차 산업혁명에 따라 노동자 자본에 대한 상대적 의존성이 떨어지면서 노동시장의 붕괴와 노동자 간 임금 격차가 커질 것은 불 보듯 뻔한 상황이어서다.

이 원장은 “미래 노동시장의 변화를 예측해 일자리 감소에 따른 실업률 증가, 부의 집중에 따른 사회적 양극화 심화에 대한 국가 및 지역 차원의 선제적 대응방안 마련이 요구된다”면서 “노동시장 구조조정 속에서 새로운 청년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은퇴 인력에 대한 재고용 정책도 필요하고, 지역차원에서 4차 산업혁명의 큰 파고를 넘기 위해서는 우수한 경험을 갖춘 지역의 중장년 인력을 새로운 유망산업에서 요구되는 기술을 교육 하는 등의 정책을 추진하거나, 일자리를 잃거나 소득이 크게 축소되는 가구 등에게는 맞춤형 지원책도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배준수 기자
배준수 기자 baepro@kyongbuk.com

법조, 건설 및 부동산, 의료, 유통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