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경북도 5개 지자체 관리주체 통일해 명산으로"

인봉 새 아침.사진제공=야산 채희복
△팔공산을 전국적인 명산으로 가꿔야 하는 이유

해발 1천193m의 비로봉(천왕봉)을 중심으로 바닥 길이로만 길이 27.6㎞, 폭 6.7㎞의 산군을 이루고 있는 팔공산은 남으로 대구분지와 북으로 의성평야를 안고 있어 실제 높이보다 훨씬 더 높게 느껴진다.

특히 중생대 백악기 말기 경상누층군에 불국사화강암이 관입되면서 형성된 지형이 수천만 년 동안 침식되면서 만들어진 화강암군과 수십개의 계곡을 타고 흐르는 계류, 1천종(858종 4아종 193변종 25품종)이 넘는 식물군, 24종의 조류와 14종의 포유류가 살며 사시사철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는 곳이다.

특히 유사 이래 한반도의 중심에 서 있었던 만큼 경산 관봉석조여래좌상(보물 제431호)을 비롯 동화사, 송림사, 부인사 등 불교유적과 함께 국보 제14호인 은해사 거조암 영산전과 국보 제109호 군위 석굴삼존불 등 2점의 국보, 동화사 입구 마애불좌상·동화사 당간지주의 금당암 3층석탑 9점의 보물, 가산산성 등 사적 2점, 그 밖에 30개소의 명소가 있다.

여기에 근대 천주교 유적인 한티성지를 비롯한 역사문화적 요소들이 산 주변 전체가 경주 남산에 비견할 만큼 수많은 역사문화유적들로 둘러싸여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설악산의 비경에 견줄만한 화강암군과 27.6㎞의 주릉은 해발 690m의 선들재에서 비로봉까지 약 500m표고차를 보이며 오르내리는 능선, 지리산과 덕유산에 비해 결코 뒤지지 않는 산세를 갖추고서도 이를 둘러싼 지자체들의 산에 그치고 있다.

지리산·계룡산·속리산·한라산·설악산·내장산·가야산·오대산·덕유산·주왕산,·북한산·치악산·월악산·소백산·월출산·무등산·태백산 등과 비교해 자연환경이나 역사적 배경, 교통 접근성 등 어디에 비춰봐도 떨어지는 곳이 없지만 팔공산은 전국의 명산대열에서 빠져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대구·경북이 중심에 자리잡고 있으면서도 500만 대구시민과 경북도민들에게 조차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팔공산을 명산으로 가꿔가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이유다.

청운대. 사진제공=야산 채희복
△팔공산 발전이 더뎌지는 이유

팔공산은 1981년 7월 경북도청 소재지였던 대구광역시가 분리되기 전까지만 하더라도 경북도청의 뒤를 받쳐주는 주산이자 대구시의 진산이었다.

그러나 유독 팔공산에 대한 관광자원화와 발전계획은 제대로 마련되지 않았다.

앞에서 열거한 국립공원들을 살펴보면 거의 대부분 1970년을 전후로 국립공원 또는 도립공원으로 지정한 뒤 늦어도 1980년대에는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구미 금오산의 경우 1970년 도립공원으로, 청송 주왕산이 1976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됐지만 팔공산은 1980년 5월에야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것이다.

이마저도 불과 1년만에 경북도와 대구광역시가 분리되면서 전체면적 126.852㎢ 중 경북이 91.487㎢, 대구가 35.365㎢ 나눠졌다.

무엇보다 관할 행정구역이 분리되면서 관리주체도 팔공산도립공원관리사무소(경북), 팔공산자연공원관리사무소(대구)로 나눠져 일관된 발전계획을 수립하기가 어려워진 것이다.

특히 도립공원 관리계획이 지자체장에게 위임되면서 팔공산이 면해 있는 영천·경산·군위·칠곡·대구 동구가 관할 구역내에서만의 개발계획을 추진하면서 자칫 난개발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 1월 이상구 경북도의원(포항 제8선거구)이 ‘팔공산 종주등산로 개설 및 둘레길의 성공적 조성 관련’이라는 주제의 5분 발언이후 같은 해 3월 대구시와 경북도, 5개 자치단체, 관련 기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관계관 회의를 가졌으나 기본적인 입장만 확인했을 뿐 더 이상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지난 2011년부터 경북도와 대구시가 추진중인 팔공산 둘레길 사업이다.

팔공산을 끼고 있는 대구시와 경북도 및 5개 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이 사업은 총사업비 93억원(경북62·대구 31)을 투입해 108㎞에 이르는 둘레길을 조성한다.

이를 위해 지난 2011년 대구시와 경북도가 사업을 제안한 뒤 2014년 기본계획 수립용역을 발주하고, 2015년 경북·대구 상생협력과제로 선정하면서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2015년 5월 대구시와 경북도, 5개 자치단체간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조정실무협의회를 구성해 추진중인 이 사업은 지난해 조성 기본 및 실시설계를 마치고 내년말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기관은 둘레길 조성사업과 종주 등산로를 연계하는 방안도 검토중이지만 아직 결론을 내리지는 못한 상태다.

부인사 왕벚꽃나무. 사진제공=야산 채희복
△팔공산 명산화 어떻게 추진해야 하나

앞서 말했듯이 팔공산은 도립공원으로 지정하는 것도 늦어졌지만 이마저도 경북·대구가 분리된 데다 지방자치제도가 본격시행되면서 팔공산에 대한 종합개발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주체가 사라져 버렸다.

특히 현행 자연공원법 제 5조의 규정에 따르며 둘 이상의 행정구역에 걸리는 자연공원의 지정 및 관리는 해당 행정기관이 상호 협의토록 돼 있어 개발행위 자체가 쉽지 않다.

팔공산은 지난 1980년 뒤늦게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데다 불과 1년여만에 2개의 광역단체로 분리된 데다 지방자치시대가 도래하면서 지방자치단체의 목소리도 커져 더욱 어렵게 됐다.

즉 2개 광역단체와 5개의 자치단체에 걸쳐 있는 팔공산을 명산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들이 첩첩이 쌓여있는 셈이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국립공원화를 통해 관리주체를 일원화시키는 것이지만 이도 만만찮다.

현행법상 국립공원은 환경부장관이 지정하고, 국립공원관리공단이 관리하기 때문에 팔공산 전역에 대한 종합적인 발전계획 수립과 관리가 일관되게 이뤄질 수 있다.

국립공원으로 지정될 경우 규모가 확대되면서 해당지역에 대한 재산권 제한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겠지만 항구적인 미래를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방안마련이 요구된다.

이 같은 문제로 국립공원 지정이 쉽지 않다면 차선책으로 대구시와 경북도, 5개 지자체가 참여하는 팔공산개발기구를 구성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앞에서 지적했듯이 현재 대구시와 경북도에는 팔공산 발전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전담기구없이 필요에 따라 개발방향을 설정해 추진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는 5개 지방자치단체 역시 마찬가지여서 자칫 해당 지역만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난개발로 치달을 우려가 높아진다.

따라서 이들 행정기관이 모두 참여하는 전담기구를 설치한 뒤 종합개발계획을 수립, 단계적인 발전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종욱 기자
이종욱 기자 ljw714@kyongbuk.com

정치, 경제, 스포츠 데스크 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