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에 겨울 멸치 어군이 형성됐다. 불빛을 좋아하는 멸치는 우유보다 칼슘이 12배나 많아서 ‘칼슘보고’라 한다. 정약전은 ‘자산어보’에 “밤에 어부들이 불을 밝혀 유인한 뒤 그물로 떠 올린다”며 한자 송사리 추()자를 쓰는 ‘추어’라 했다. 멸치를 경상도 일부 지역에서는 ‘메르치’라 부르고, 전남이나 제주에서는 ‘멜’이라 부르기도 한다. 옛날에는 업신여긴다는 한자어가 들어간 ‘멸어(蔑魚)’로 불렀다. 우리나라 연안으로 회유하는 종은 봄과 가을에 산란한다.

청어목 멸치과에 속하는 멸치는 다 자라야 15㎝ 남짓이다. 하지만 이 작은 멸치의 머리엔 블랙박스가 있다. 물고기 박사로 유명한 황선도 박사는 우리나라 바닷물고기 정보를 담은 책 ‘멸치 머리엔 블랙박스가 있다’를 내기도 했다. 책 제목의 블랙박스는 멸치 머리의 이석(耳石)이다. 평형기관 구실을 하는 이석은 단단한 뼈를 가진 경골어류가 갖고 있는 특징인데, 이 이석을 쪼개 성장선을 분석하면 이 물고기가 언제 태어났는지까지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여러 정보가 담겨 있다고 한다.

“네 뼈로 내 뼈를 세우리/ 네 살로 내 살을 보태리/ 네 몸을 이루는 바다로/ 삶의 부력을 완성하리/ 은빛 비늘의 눈부심으로/ 무디어진 내 눈물을 벼리리(중략)/그리하여 어느 궁핍한 저녁/ 한소끔 들끓어 오르는 국냄비 / 생의 한때 격정이 지나/ 꽃잎처럼 여려지는 그 살과 뼈는/ 고즈넉한 비린내로 한 세상 가득하여,/ 두 손 모아 네 몸엣것 받으리(하략). 김정태 시인은 ‘멸치’를 위한 헌사를 이렇게 시로 남겼다.

천적을 피하기 위해 멸치는 본능적으로 무리 지어 다닌다. 멸치를 잡는 방법은 지역마다 조금 다르다. 포항은 배 3척이 선단을 이루는 양조망으로 잡는데 비해 가까운 경주는 유자망으로 잡는다. 양조망은 본선 1척에 보조선 1척, 가공선 1척이 한 통을 이뤄 그야말로 한통속이 돼서 멸치를 잡는다. 유자망은 배 한 척이 그물을 수면에서 수직으로 펼쳐 내려 멸치 떼를 포획한다. 겨울 멸치떼가 경주와 포항 연안에 몰려 항구마다 멸치 털기로 떠들썩하다. 씨알 좋은 멸치의 고소한 살을 발라 버무린 회무침 한 번 실컷 먹어야겠다.

이동욱 논설실장 겸 제작총괄국장
이동욱 논설주간 donlee@kyongbuk.com

논설주간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