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용태기자

얼마전 퇴직한 모 구청 한 간부는 “예전에는 20여년 공직생활 후 퇴직금(1억5천만원 내외)만으로도 자식 분가시 아파트 한 채는 거뜬했습니다. 요새는 매년 수천만원씩 오르니…”

분양가 적정성 문제가 또다시 도마위에 올랐다.

올해 민간업체로서 맨 먼저 분양에 나서는 대구 수성구 ‘범어역 삼환나우빌’의 33평형 분양가가 2억5천800만원으로 최종 확정됐다. 지역에서는 최고 가격이다.

여러모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33평형은 서민들이 직접 피부와 와 닿는, 즉 서민들이 입주하는 국민주택 규모이기 때문.

작년 이맘때 수성구와 일부 달서구 지역에서 일부 업체의 분양가가 2억원을 넘기자 언론과 시민들은 “너무 심한 것 아니냐. 서민들의 내집 장만은 물 건너 간 것 아니냐” 등등의 불만이 쏟아졌다.

분양가 통제에 소극적인 행정당국으로 비난의 화살이 쏟아졌고, 주택업체들은 땅값과 원자재가격이 올라 정작 수익은 미미하다며 맞선 형국이 얼마전이다.

최근 들어 분양가 급등 이유 가운데 기업윤리 상실에 대한 문제점이 불거지고 있다. .

예전에는 지역 주택업체(시공사)가 부지매입, 건축, 분양 등 일련의 과정을 책임졌다.

더구나 지역민의 여론을 의식해 터무니없는 분양가 인상은 스스로 자제하는 분위기가 깔려 있었다.

하지만 IMF 이후 시공사-시행사 구도로 굳어지면서 분위기가 급변했다.

특히 외지 업체들이 지역에 줄줄이 입성하면서 기업윤리는 상실된 채 수익만을 염두에 둔 한탕주의가 성행하고 있다.

당연히 지역민과 시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안중에도 없다.

시행사들의 회사 명의가 사업지마다 바뀌는 상황에서 기업윤리를 강요할 수 없다.

명의변경 금지 등의 묘안을 찾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내집 마련은 요원할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