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사회의 전직 회장 2명이 대(代)를 이어 뇌물 파티를 벌였다니 충격적이다.

지난해 10월에는 고석구 당시 수자원공사 사장이 역시 뇌물 수수 혐의로 걸려드는 등 연이어 터지는 공기업 비리를 대하는 국민으로서는 마치 생선가게를 고양이에게 맡겨 놓은 듯 불안하기 짝이 없다.

이런 일들이 되풀이되는 꼴을 계속 지켜보고만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공기업의 구조적인 비리를 발본색원할 획기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마사회의 윤영호 전 회장과 그의 후임인 박창정 전 회장이 시설관리용역업체 등에서 거액의 금품과 향응을 받았으며 이들의 부하 직원과 거래업체 관계자들도 뇌물을 주고받은 사실이 검찰 수사 결과 드러났다.

이 용역업체는 마사회가 구조조정 차원에서 분사한 것이라지만 본사가 마사회 건물 지하에 있고 사장을 비롯한 직원 대부분이 마사회 출신이라니 구조조정은 그저 생색내기용일 뿐이고 실제로는 ‘부적절한 공생 관계’를 형성하며 서로의 잇속 챙기기에 급급했던 셈이다.

이들의 수법을 들여다보면 공기업들의 비리가 갈수록 교묘해지고 윤리의식은 땅에 떨어졌음이 단박에 드러난다.

현금 3천만원이 들어가는 고등어 상자나 2천만원짜리와 300만원짜리인 곶감상자와 초밥통 등으로 뇌물을 챙기는 것도 부족해서 인근의 식당들을 통한 ‘카드깡’과 기념품비 과다 계상 등의 치사한 수법까지 동원했다.

마사회는 감사원이 지난 2002년 공기업 구조조정 실태 특감을 벌여 132개 공기업의 위법·부당 사례 788건을 적발할 당시에는 용하게 그냥 넘어갔으나 이번 사건이 첩보에 의한 검찰 수사로 들통나는 바람에 또다시 ‘복마전’이라는 불명예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됐다.

어쨌든 이번 사건을 통해 마사회의 구조조정이 형식적이었음은 확연해졌고 다른 공기업들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짐작된다.

다행히 검찰이 마사회와 비슷한 유착 사례들을 파헤치겠다고 하니 이 참에 공기업들의 구조적 비리를 불식하고 ‘먹이사슬’을 완전히 끊어 놓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공기업들도 사회가 요구하는 청렴도가 이전보다 훨씬 높아졌음을 절감하고 사정의 칼날이 닥치기에 앞서 스스로 마음가짐을 다잡아 국민의 신뢰를 되찾는 계기로 삼으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