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대게 사라질라"…자원 회복·관리 잰걸음

대게 보호초 설치 중인 모습
동해안 최대 어업전진기지인 포항 구룡포를 비롯해 영덕·울진 등 경북 동해안은 전국 대게 생산의 90%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경북이 주산지인 대게 생산이 지난 10년간 남획 등으로 꾸준하게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대게 자원 회복에 점차 힘이 실릴 전망이다.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FIRA) 동해본부(본부장 신성균)는 대게 주산지인 울진·영덕 해역을 대상으로 지속 감소하는 대게 자원 회복을 위해 올해에만 40억 원을 투입해 어린대게와 암컷대게 보호에 적극 나선다고 밝혔다.

FIRA 동해본부에 따르면 지난 2016년 기준 대게 전국 총 생산량은 1572t.

이 중 경북에서만 1386t을 잡아 전국 생산의 88%를 차지하며 압도적 1위를 차지하는 특산물로 오랫동안 사랑과 인정을 받고 있다.

각 시·군에서 열리는 대게 축제, 포항 죽도시장과 구룡포항, 영덕 강구항 등에 즐비한 대게 횟집의 먹거리 관광 자원, 가공식품 활용 등 경북 경제에도 적잖은 효자 노릇을 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대게 생산량은 2007년 4594t을 정점으로 지속 감소하고 있어 최근 10년 사이에만 60%가량 줄었다.

주산지 경북의 어민들 또한 비슷한 수준의 대게 어획량 급감으로 시름은 깊어만 지고 있다.

대게 자원 감소는 저인망 어선의 싹쓸이 조업, 그리고 연안 통발 어선의 불법 조업에 따른 남획, 동해안 수온 상승에 따른 어장 환경 변 등이 주원인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동해 바다에 다시 대게를 풍성하게 하기 위해 추진되는 것이 ‘동해 대게 자원회복사업’이다.

경상북도·울진군·영덕군·FIRA가 공동으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년간 총 266억 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대게 자원회복 프로젝트다.

동해 대게 자원회복사업은 대게 생활 형태와 생태 습성 등을 고려해 대게 서식 환경을 개선을 추진한다.
알을 품은 암컷 대게
대게 서식 환경을 개선하며, 사업의 핵심은 대게 혼획방지를 위한 ‘보호초’ 설치다.

대게는 100~400m 가량 해저 바닥에 주로 서식하는 특성상 그물로 해저 바닥을 낮게 끌면서 조업하는 저인망 어업에 특히 취약하다.

저인망이 훑고 지나가면 크기에 관계 없이 어린대게나 암컷대게가 무분별하게 혼획·남획돼 다시 바다에 다시 방류한다 해도 거의 죽을 수밖에 없다.

특히 암컷 대게는 6만 개 가량 알을 품고 있어 철저한 보호와 불법조업 근절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대게를 저인망 그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는 콘트리트 블록 구조물이 바로 보호초다.

대략 길이와 너비·높이가 각 2m 정도로 거대한 구조물로 저인망 그물이 쉽게 걸리도록 제작돼 저인망 어업으로부터 대게 자원을 보호해주고 있다. 보호초가 설치되지 않은 해역의 암컷 생존율(30%)보다 약 두 배(57%)가량 생존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사업 대상 해역은 울진 죽변·후포, 영덕 축산·강구 총 4개 해역으로 100~150m 수심에 보호초 1000여 개를 50m 간격으로 설치, 총 2400㏊ 면적의 보호초를 추진하고 있다.

관련 어업인과 전문가 의견을 통해 어린대게 및 암컷대게의 분포밀도가 높고, 보호가 가장 시급한 지역으로 꼽힌 곳이다. 현재까지 약 40%가량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예산 확보가 관건이다.

대게는 생물학적 특성상 완전히 성장하는데 최소 7~8년가량 오래 걸려 이 사업에 따른 자원 회복 효과를 증명하는 시간 역시 많이 소요돼 예산 확보에 어려움이 많다.

지난해까지 4년간 64억 원(연간 평균 16억 원·전체 예산의 24%)만 투입됐다.

FIRA 동해본부와 지자체·관련 어업인 등 많은 노력을 통해 올해 예산을 당초 16억 원에서 40억 원으로 대폭 확대에 성공했지만 아직도 전체 예산의 39%밖에 투입되지 않은 상태다

이와 관련, 특히 이웃 일본을 살펴보면 대게 자원 회복에서 보호초 중요성과 꾸준한 관심 필요성을 알 수 있어 살펴 볼 만하다.

일본은 1980년대부터 서부 각 현에서 대게 자원 관리를 위한 대안으로 저인망 조업을 막을 대게 보호 육성초 설치사업을 30년가량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지속적인 대게 어획량 감소에 따라 효율적 관리 체계 마련이 절실, 2007년 5월 어항 어장 정비법 개정에 따라 EEZ 해역에 대한 자원관리 주체가 국가로 변경되기도 했다.

현재까지 한화로 총 2000억 원의 대규모 예산이 투자해 꾸준히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그 결과 보호육성초 설치 해역에는 총 2000t 가량 잠재적 대게 자원이 보호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만큼 장기간의 안목과 꾸준한 예산 지원, 대게 보호면적 확대 등이 뒤따른 후에야 서서히 대게 자원 회복이 이뤄졌다는 점을 알 수 있다고 FIRA측은 강조했다.

핵심사업 보호초 보급과 더불어 대상 해역에 △대게 서식환경개선을 위한 폐어망 수거 △지속적인 사업 효과 모니터링을 위한 무선잠수정(ROV) 자원조사 △대게 먹이망 분석 및 유생 발생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김남일 FIRA 동해본부 책임연구원은 “이를 통해 과학적으로 대게 보호 사업의 효과를 자료로 제시하고, 지속 가능한 대게 자원회복사업 추진을 위해 중장기 계획 수립과 경제성 분석도 병행 실시할 방침”이라고 했다.

이와 함께 동해어업관리단, 울진해양경찰서, 국립수산과학원, 경북 수산자원연구소 등과 협업해 불법 유통된 암컷대게를 보호구역에 방류함으로써 생존율 향상에 따른 자원회복에 기여하고, 사업 고도화를 위한 기술개발도 논의한다.

또한 대게 자원관리에 중요한 조업분쟁 해소를 위한 민·관 합동 대게 자원관리 협의체에 참여 및 중재하고, 대게 자원 보호를 위한 정책 개발이나 향후 법률 개정 등에도 힘을 보탤 방침이다.

신성균 FIRA 동해본부장은 “일본의 대게 보호육성초 육성사업을 살펴보면 30년, 2000억 원의 막대한 예산과 시간을 들였지만, 2000t의 대게 자원을 보호하는 효과 또한 나타났다”며 “더불어 해당 어업인 협조와 자원 회복을 위한 자발적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우리 또한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국가사업인 만큼 무엇보다도 어업인의 적극적 자원회복 의지와 정확한 통계자료 취합을 위해 전 업종의 TAC 확대 등 어업환경 개선과 더불어 어업 분쟁 해결을 위한 제도 개선 및 조정이 수반돼야 한다” 고 강조했다.

이어 “FIRA 동해본부는 실질적인 대게 자원의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어업인·유관기관과 협업, 소통해 정부의 대게 자원회복 정책수립에 적극 기여할 계획”이라 밝혔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